목록책 이야기/사이언스 스케치 (58)
ScienceBooks

“명왕성은 태양계 행성으로 보지 않는다.” 2006년 명왕성이 퇴출당했던 사건을 기억하시나요? 태양계 내 행성의 정의를 재정립하고 명왕성을 퇴출하기로 한 곳은 바로 국제 천문 연맹(IAU) 총회였습니다. IAU 총회는 새로운 천체의 이름을 짓거나 천문학계의 중요한 개념과 용어를 정의하며, 굵직한 사건이 있을 때마다 전 세계 천문학자들이 모여 민주적인 절차로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입니다. 최신 연구 소식들이 전해지고, 가장 멋진 성과를 거둔 스타 천문학자들이 탄생해 ‘천문학 올림픽’이라고도 불립니다. 2022년 IAU 총회가 8월 2일부터 8월 11일까지, 10일간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됐습니다. 총회는 3년마다 회원국을 돌아가며 개최되는데,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멸종 위기 동물들에 대한 사랑을 가득 담은 조엘 사토리의 『포토 아크』 출간 기념 사진전 「닮음: 우리는 서로 닮은 곳이 많아요」가 2019년 12월 5일부터 서울 시립 과학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이 「닮음」 전시에서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전속 사진가 조엘 사토리가 촬영하고 ㈜사이언스북스에서 출간한 『포토 아크』에 실린 사진 30여 장을 선보입니다. 서울 시립 과학관의 이정모 관장님께서 “인류세를 사는 우리 모두가 꼭 봐야 하는 사진책”이라고 추천해 주신 『포토 아크』의 사진들 중에서 서로 닮은꼴을 한 동물들을 모아 본 아주아주 특별한 사진전입니다. 얼굴을 가린 원숭이와 쥐, 혀를 날름거리는 뱀과 두더지. 전혀 다른 종이지만 같은 자세를 잡고 있습니다. ‘포토 아크’ 프로젝트는 이처럼 귀엽지만 실은 ..

지난 7월 13일(토), 민음사 본사가 있는 강남출판문화센터 지하 2층 이벤트홀에서 세계적인 입자 물리학자 김영기 교수님 초청 강연이 진행되었습니다. 현재 시카고 대학교 물리학과 학과장, 미국 물리학회 입자 물리학 분과장, LHC(대형 강입자 충돌기) ATLAS 실험 그룹 FTK 위원장이며 도쿄 대학교, 카블리 우주 물리학 및 수학 연구소 수석 연구원, 미국 예술 아카데미 회원 등으로 활동하는 김영기 교수님은 미국 최대의 물리학 연구 기관 중 하나인 국립 페르미 가속기 연구소 부소장을 지낸 세계 입자 물리학계의 거물 중 거물입니다. 실험 입자 물리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이자 리더로 활발히 활동 중인 김영기 교수님을 모시고 들어본 흥미로운 입자 물리학의 세계를 여러분께 전합니다. 현장 스케치 기사는 프리..

지난 6월 7일(금), 삼청동 과학책방 갈다에서 『침묵하는 우주』의 출간을 기념해 책을 번역하신 문홍규 박사님과 이명현 박사님의 북토크가 진행되었습니다. 한국 천문 연구원에서 근무하며 현재 태양계 소천체 연구와 우주 감시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계신 문홍규 박사님은 외계 행성의 여러 조건을 살피며 외계 생명체의 가능성을 살폈습니다. 이어 SETI 연구소 한국 책임자이기도 한 이명현 박사님은 SETI 프로젝트의 과거 패러다임과 최근의 흐름을 개괄하며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두 번째 순서, 이명현 박사님의 이야기입니다. 현장 스케치 기사는 프리랜서 라이터 신연선 작가가 작성했습니다. 섬뜩한 침묵을 깨는 지구인의 속삭임: 『침묵하는 우주』 출간 기념 북토크 ② SETI의 시작, 외계 지적 생명체를 찾는..

SETI 프로젝트는 2020년, 60주년을 맞습니다. 폴 데이비스(Paul Davies) 미국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교수의 『침묵하는 우주(The Eerie Silence)』는 환갑을 맞은 SETI 프로젝트의 어제와 오늘, 내일을 살핍니다. SETI 프로젝트의 과학적 방법론과 목적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과연 우리 우주에서 인류가 유일한 존재인지, 우주의 섬뜩한 침묵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명과 지성의 본질은 무엇인지 등을 근본적으로 탐구합니다. ‘우주에 우리만 있는가?’라는 질문에 인류는 어떤 답을 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을까요. 프리랜서 라이터 신연선 작가의 『침묵하는 우주』 출간 기념 북토크 취재 기사를 통해 확인해 보시죠. 섬뜩한 침묵을 깨는 지구인의 속삭임: 『침묵하는 우주』출간 기념 ..
2019년 1월 18일부터 3월 7일까지 총 6회에 걸친 이 끝이 났습니다. 역사책방과 과학책방 갈다에서 번갈아 가며 진행한 강연으로 사이언스북스에서 출간된 DK 대백과사전 책을 중심으로 명사들의 강연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강연은 위와 같이 진행되었습니다. 과학만이 아니라 역사, 경제, 동물, 무기 등 다방면의 주제로 강의를 들으며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간단하게 각 강연 현장을 사진과 함께 살펴봅니다. 1강 : 빅 히스토리를 읽다강연자 : 윤신영(동아사이언스 기자) 첫 번째 강연은 『인류의 기원』 공저자이신 윤신영 기자님의 '빅 히스토리를 읽다'로 시작되었습니다. 『빅 히스토리』 책을 중심으로 인류의 진화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며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강연 보기 ▼ 관련 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