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천문학 (48)
ScienceBooks
칼 세이건 살롱 2016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 교양 '칼 세이건 살롱 2016'을 책으로 만나다! 『칼 세이건 살롱 2016』은 칼 세이건 서거 20주기를 맞이해 그가 남긴 메시지를 보다 많은 독자들과 함께, 넓게 깊이 읽기 위하여 (주)사이언스북스에서 기획·주최하고 (주)과학과 사람들이 주관·진행한 ‘칼 세이건 살롱 2016’의 과학 강연과 좌담을 정리한 책으로, (주)사이언스북스 창립 20주년을 기념해 비매품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칼 세이건 살롱 2016’은 1980년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계승한 2014년 「코스모스: 스페이스타임 오디세이」 13회 전편을 함께 시청하고, 천문학자이자 과학 저술가인 이명현 박사, ㈜과학과 사람들의 대표이자 인기 과학 팟캐스트 「파토의 과학 같은 소리 하네」의 ..
『나의 코스모스』로 듣다'코스모스 세대'에게 드리는 홍승수 교수의 말 작년 5월, 과 함께 진행했던 홍승수 교수의 강연을 기억하시나요? 홍승수 교수는 『코스모스』의 역자이자 한국의 원로 천문학자로, 이날 홍승수 교수의 강연을 듣고자 많은 청중들이 모였습니다. 날 좋은 토요일이었음에도 강연장을 가득 채우다 못해 앉을 자리가 부족하여 서서 몇 시간의 강연을 들었을 정도로 강연장의 분위기는 시작 전부터 뜨거웠습니다. 『나의 코스모스』는 당시 강연 내용을 엮어서 만든 책으로 오늘은 이 책 속의 문장들을 몇 개 뽑아서 함께 읽어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강연 때의 감동을, 짧은 포스팅 속에서나마 다시 한 번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우리나라에 소위 『코스모스』 세대라는 연령층이 있다.” 여러분 아니십니까? 오늘..
2017 빅뱅 오디세이 2017년의 시작과 함께한 빅뱅 10주년 콘서트에 많은 사람들이 열광했습니다.하지만 올해가 ‘진짜’ 빅뱅의 90돌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은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알려줬습니다.정작 본인은 죽을 때까지 부정했지만, 프리드만과 르메트르, 그리고 허블 등이 ‘팽창하는 우주’ 모형,이른바 ‘빅뱅 우주론’을 끈질기게 연구하여 오늘날까지 발전시켰습니다. 현재 우리는 르메트르가 「원시 입자 가설」을 발표한 1927년을 빅뱅 우주론의 원년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따라서 올해는 빅뱅 우주론의 9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역사적인 해를 맞아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 강의』(이석영)가 들려주는빅뱅 우주론의 연대기를 정리해 봤습니다. 아인슈타인의 우주 상수 도입 ..
"당신의 우주는 얼마나 넓습니까?" 이석영 교수의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 강의』가 증보판으로 새롭게 찾아옵니다! 사이언스북스에서 처음 이석영 교수의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 강의』를 선보인 것도 어언 8년이 되어갑니다. 출간된 지 거의 10년의 시간이 흘렀음에도 아직까지 대학 교재로 활용되고 있을 정도로 꾸준한 사랑을 받는 도서인만큼 이번 증보판 출간 소식을 반기는 독자 분들이 많을 거 같습니다. 이번 3월에 출간되는 증보판에는 새로운 챕터인 「12강 우주 배경 복사의 비등방성」가 추가됩니다. 해당 챕터에서는 급팽창 이론의 새로운 증거가 되는 최신 연구 결과를 다루고 있습니다. 표지 또한 색상을 바꿔서 새로운 느낌으로 출간될 예정입니다. 아직은 여러 색을 두고 고민 중에 있습니다. 서점에..
나의 코스모스 │ 홍승수‘코스모스 세대’에게 바치는 원로 천문학자의 우주와 과학 예찬 1500만 다운로드의 과학 팟캐스트 「과학하고 앉아 있네」 3주년 기념 강연 완전 수록! 2016년 12월 20일은 천문학자 칼 에드워드 세이건(1934〜1996년)의 서거 20주기가 되는 날이었습니다. 칼 세이건은 골수 이형성 증후군(골수성 백혈병)으로 세상을 떠났지만 한국 독자들은 아직도 그가 남긴 책들을 사랑하고 있습니다. 특히 1980년에 처음 출간되었고, 2005년에 한국어판이 정식 출간된 『코스모스』는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와 함께 과학 교양서 시장에서 1, 2위를 다투며 대표적인 과학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습니다. 또 2014년 라는 제목으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가 리메이크되면서 한국 출판계에 또 ..
‘혜성’이 뜨겁습니다. ‘혜성’을 매개로 시간을 초월한 사랑을 아름답게 그린 이 관객수 300만을 돌파했습니다. 또 약 3년마다 지구를 찾아오는 엥케 혜성과의 만남도 올해 기대되는 천문 현상입니다. 2017년 정초부터 세상을 뜨겁게 달구는 혜성, 그 실체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밤하늘의 신비 혜성에 대한 놀랍고 재미있는 17가지 이야기를 칼 세이건의 『혜성』에서 만나 보세요. ※ 왜 17가지인지 궁금하신 분들은 「숫자 17의 17가지 비밀」을 참고해 주세요. 혜성(comet)은 털을 뜻하는그리스 어(kometes)에서 나왔다. -보통 혜성은 털 달린 별, 꼬리 별,빗자루 별 등으로 불렸다. 옛날에는 혜성이 날씨의 형태라고 믿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천문학은 혜성의 근원이 지구에 있다고 설명했다. 혜성이 ..
속 혜성 이야기 Q. 진짜 혜성이 쪼개질 수 있을까요? 그렇습니다. 혜성의 분열은 오래전부터 지구에서도 목격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에포루스(Ephorus)가 기원전 371년에 둘로 쪼개진 혜성을 기록했다고 하네요. 1826년의 한 혜성은 비엘라와 강바르라는 두 사람이 동시에 발견하면서 우선권 논쟁이 일어났는데요. 마침 혜성이 쪼개져서 잘 해결되었답니다. Q. 그렇다면 혜성은 왜 쪼개지는 걸까요? 혜성 핵은 암석질 물질이 뒤섞인 더러운 얼음 덩어리에 불과합니다. 이렇게 연약한 혜성이 태양 가까이 지나가면 엄청난 조석력 때문에 쪼개지거나 태양에 가까워지면서 얼음이 폭발적으로 증발하는데, 그 힘 때문에 쪼개지기도 합니다. Q. 혜성이 지구에 떨어지면 어떻게 될까요? 혜성에 있는 얼음이 전부 증발되면..
올해, 칼 세이건 서거 20주기를 맞아 사이언스북스와 과학과 사람들이 공동으로 주최한 ‘칼 세이건 살롱 2016’이 13주간의 대장정 끝에 지난 2016년 12월 20일 막을 내렸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응원과 참여 덕분에 「코스모스: 스페이스타임 오디세이」를 함께 보며 칼 세이건의 정신을 공유하는 이번 행사를 성공리에 마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사이언스북스는 매년 12월 20일을 ‘칼 세이건의 날’로 기념하며 더 좋은 콘텐츠와 행사로 독자 여러분과 만날 계획입니다. 이어서 『코스모스』의 역자 홍승수 선생님의 『나의 코스모스』를 비롯해 『혜성』, 『브로카의 뇌』 등 칼 세이건의 저작들도 곧 출간되오니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아듀, 칼 세이건 살롱 2016!홍승수, 이명현, 장대익, 김창규..
사이언스 클래식 30혜성 │ 칼 세이건, 앤 드루얀 │ 김혜원 옮김 칼 세이건의 위대한 유산 『코스모스』, 『창백한 푸른 점』, 『혜성』의 부활!칼 세이건 서거 20주기 기념 초판본 완전 재현『코스모스』의 예술가 존 롬버그의 걸작 삽화 포함 350여 컷 도판 수록 어둠 속 빛나는 방문객혜성과 함께 떠나는 우주여행혜성은 인류 역사상 밤하늘에서 목격할 수 있는 최고의 장관 중 하나입니다. 혜성이 지나간 자리에는 공포와 두려움, 신화와 예언, 시와 그림, 그리고 호기심과 의문이 남았습니다. 특히 과학자들은 뉴턴 역학의 살아 있는 증거로, 태양계의 시원 물질을 고스란히 간직한 코스모스의 화석으로, 또 지구에 생명의 씨앗을 전해 준 요정으로 혜성의 과학적 가치를 높게 평가합니다. 무엇보다도 혜성은 지구상에 있는 ..
올해, 칼 세이건 서거 20주기를 맞아 사이언스북스와 과학과 사람들이 공동으로 주최한 ‘칼 세이건 살롱 2016’이 13주간의 대장정 끝에 지난 12월 20일 막을 내렸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응원과 참여 덕분에 「코스모스: 스페이스타임 오디세이」를 함께 보며 칼 세이건의 정신을 공유하는 이번 행사를 성공리에 마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사이언스북스는 매년 12월 20일을 ‘칼 세이건의 날’로 기념하며 더 좋은 콘텐츠와 행사로 독자 여러분과 만날 계획입니다. 이어서 『코스모스』의 역자 홍승수 선생님의 『나의 코스모스』를 비롯해 『혜성』, 『브로카의 뇌』 등 칼 세이건의 저작들도 곧 출간되오니 관심과 사랑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인류의 불멸을 꿈꾸며지금까지 우리는 우주의 처음과 우주의 역사, 우주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