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연재) 사이언스-오픈-북 (99)
ScienceBooks

미세 먼지 지수에서 노조 조직률, 합계 출산율까지 20개의 숫자로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에세이 『숫자 한국』. 대학 병원 약사 출신으로 통계학을 전공했고, 현재는 사회적 글쓰기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는 ‘글 짓는 약사’ 박한슬 작가가 제시하는 이 처방전을 체험해 본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유튜브 채널 ‘언더스탠딩’,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금융·경제 전문 뉴미디어 ‘어피티’ 같은 유력 매체를 이끄는 명사들입니다. 지금부터 3주 동안 진행될 이 연재의 첫 번째 순서로, 지식 콘텐츠 채널 언더스탠딩의 안승찬 대표님께서 『숫자 한국』을 먼저 읽고 깨달은 지혜와 통찰을 독자들에게 전합니다. 숫자는 힘이 있다. 숫자가 가진 구체성 때문이다. 숫자만 잘 확인해도 안개가 걷히듯 ..

1960년 탄자니아 곰베 국립 공원에서 제인 구달 박사님이 시작한 야생 침팬지 연구로 과학계가 침팬지와 인간이 생물학적으로만이 아니라 지능과 행동 면에서도 닮았음을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가 20세기 가장 위대한 과학적 업적 중 하나라고 칭한 야생 침팬지 연구, 보호와 교육 활동의 정수가 담긴 『창문 너머로』를 동물 행동학자 최재천 교수님과 함께 읽어보시겠습니다. 제인 구달의 책은 대략 세 부류로 나뉜다. 우선 『제인 구달: 침팬지와 함께한 나의 인생(My Life with the Chimpanzees)』을 비롯한 일대기 내지는 위인전이 수없이 많다. 몇 권을 빼고는 대개 다른 저자가 그에 관해 쓴 책들이다. 그 다음은 이른바 ‘희망 시리즈’ 책들이다. 『희망의 이유(Reason for ..

역사상 최초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mRNA 백신 성공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 재유행과 맞물려 RNA의 잠재력에 대한 각계의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태초의 물질, 생명 현상의 조절자, 미래의 분자 RNA가 성큼 다가온 것입니다. 무궁무진한 가능성,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에서 『RNA 특강』에 담긴 송기원 연세 대학교 생화학과 교수님의 핵심 강의로 RNA가 간직한 비밀의 실마리를 발견하시기 바랍니다.DNA 시대에서 RNA 시대로, 생명의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우리는 코로나19바이러스 세계적 대유행의 긴 터널을 지났다. 그간 많은 이의 관심에서 비켜나 있던 생명 과학은 갑자기 모두의 관심 영역이 되었다. 생명 과학 관련자들이 주로 사용했던 PCR, 항원 항체 반응 같은 용어도 코로나19바이러스 ..

하버드의 인지 과학자 스티븐 핑커의 신작, 『글쓰기의 감각』이 출간되었습니다. 한국 출판 시장에서는 2021년 『지금 다시 계몽』 이후 3년 만의 신작입니다. 언어와 마음의 관계, 인간 본성의 비밀, 인류 역사와 폭력, 그리고 진보와 계몽의 미래 등 거대한 이슈들을 치밀한 분석과 우아한 문체로 풀어낸 ‘벽돌책’으로 유명한 핑커가 이번에는 ‘글쓰기’를 다룹니다. 일종의 ‘실용서’입니다. 핑커와 실용서의 조합, 핑커를 사랑해 온 독자든, 핑커의 진취적이고 과감한 주장에 부담을 느껴 온 독자든 핑커의 명쾌하고 우아한 글쓰기 솜씨에는 다들 감탄해 왔습니다. 그런 그의 글쓰기 비결이 담긴 책입니다. 어떤 책인지 궁금하시죠? 먼저 이 책의 첫 번째 리뷰가 될 옮긴이 김명남 선생님의 「옮긴이 후기」를 살짝 공개합니다..

생명 과학의 핵심을 꿰뚫는 17가지 질문을 차곡차곡 챙겨 낸 『송기원의 생명 공부』는 어떤 책일까요? 법무부 장관을 지내고 모든 생명이 아름답게 공존하기 위해 지구법학을 연구하는 재단법인 지구와사람을 설립하신 강금실 선생님, RNA 연구자로서 기초과학연구원을 이끄는 한편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을 받으신 김빛내리 서울 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님, 대한민국과학문화상 수상자이자 가천 대학교 창업 대학 스타트업 칼리지 학장으로 계신 장대익 교수님은 입을 모아 꼭 읽어야 할 생명 교과서라고 추천해 주십니다. 여름 방학, 『송기원의 포스트 게놈 시대』, 『RNA 특강』과 함께 보시면 더욱 쉽고 재미있는 독서 경험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매우 친절하고 완벽한 생명 교과서" 날로 눈부시게 발전하는 생명 과학의 핵심..

인공 지능의 도전에 직면한 이 시대, 한신 대학교 신학 대학원 원장으로 계신 전철 교수님은 『AI 시대, 행복해질 용기』(공저)에서 종교적 상상력이 21세기 인공 지능 시대와 조화된 방식으로 어떻게 재구성될 수 있는지 탐구하는 것이 주요 과제라고 쓰셨습니다. 무엇이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일까요? 생화학자 송기원 교수님의 『송기원의 생명 공부』를 읽은 신학자 전철 교수님은 어떤 깨달음을 얻으셨을까요? 생명, 인간 존재의 의미를 찾는 여정 생명이란 무엇인가? 45억 년 전 행성 지구가 탄생한다. 지구의 침묵과 어둠을 깨고 38억 년 전 생명체가 탄생한다. 그 장구한 시간의 끝에서 인류가 출현한다. 생명은 신비하면서도 경이로운 것이다. 우리는 생명체이지만 때로는 ‘생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잊고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