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Books
시공간을 초월한 『코스모스』의 무한 매력 : 명사들이 말하는 『코스모스』 본문
화제의 인문학 예능,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알쓸신잡)」 마지막 감독판 방송에서 유시민 선생님이 무인도에 가져갈 ′한 권의 책′으로 『코스모스』를 꼽으셨죠(방송 보러 가기). 사실 유시민 선생님이 그간 강연이나 저서에서 ‘공부를 하는 데 좋은 책’, ‘반복해서 읽기에 좋은 책’으로 『코스모스』를 여러 번 언급하셨는데요.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과학계에서 미국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40여 년 전에 쓴 『코스모스』가 사이언스북스의 베스트셀러·스테디셀러이자 대표적인 과학 고전으로 수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시공간을 초월한 그 매력에 대해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cc)창비/wiki
무인도의 삶은 외로울 것이기 때문에 어떤 대상과의 연결고리를 찾아야 한다. 하지만 무인도는 자연만이 존재하며, 자연과 교감해야 한다. 코스모스는 최초로 우주와 내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를 말이 되게 얘기해 준 책이었다. 여러 번 읽은 책이지만, 딱 한 권 들고 가서 무인도에서 내가 죽는날 까지 살아야 한다면 이 책을 가져가고 싶다.
─유시민, 작가, 「알쓸신잡」에서
과목, 분야로 나뉘어 있던 지식이 하나로 이어져 내 삶과 연결되고 나아가 그것이 우주와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을 만들어 주는 게 『코스모스』 가 우리에게 선사할 수 있는 가장 큰 선물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칼 세이건 살롱 2016』에서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는 인류 역사를 바꾼 고전 중의 하나
─홍승수,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명예 교수, 『코스모스』 옮긴이의 말에서
단 한 권의 책을 추천하라고 하면 나는 아직까지는 주저하지 않고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를 꼽는다. 『코스모스』 속에는 '경이로움'과 그 앞에 마주 선 우리들의 '허무함'과 그로부터 불사조처럼 피어오르는 '성찰'과 이어지는 '모험', 그리고 '삶'의 이야기가 녹아 있기 때문이다.
─이명현, 천문학자 및 과학 저술가, 「월요일의 '과학 고전 50」 ‘코스모스’ 편에서(바로가기)
내가 바라보고 있는 저 푸른 하늘이 하늘의 끝이 아니라는 것, 내가 알고 있는 사람과 생물 들이 우주 속 살아 있는 것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 만화나 소설보다 더 신기한 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이라는 사실을 『코스모스』가 나의 뇌와 폐부 속 깊이 심어 넣었다.
─원종우, (주)과학과사람들 대표, 『칼 세이건 살롱 2016』에서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았던 이유는 인문적이고 역사적인 지식들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장대익,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칼 세이건 살롱 2016』에서
『코스모스』는 결국 천문학적 사실에서 인류 문명이 지향할 가치를 찾고자 하는 노력의 산물
─윤성철,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 『나의 코스모스』 「호모 사피엔스에서 호모 코스모스로」에서
『코스모스』는 천문학뿐만 아니라 생물학, 화학, 고생물학, 그리고 동서양의 고대 문화와 같은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포괄하고 있는 책
─이강환, 서대문자연사박물관 관장, 『나의 코스모스』 「호모 사피엔스에서 호모 코스모스로」에서
『코스모스』에서는 우주, 생명의 얘기와 화학 시간에 배웠던 화학식, 물리학 시간에 배운 힘과 에너지들이 다 연결된다.
─손승우, 한양대학교 응용물리학과 교수, 『칼 세이건 살롱 2016』에서
위 내용을 포함해 코스모스와 칼 세이건에 대한 더 '매력적인' 이야기들이 (주)사이언스북스 창립 20주년을 기념해 4월 말까지 무료로 배포됐던 『칼 세이건 살롱 2016』에 실려 있습니다. 사이언스북스 애독자들은 모두 갖고 계실 것 같은데요. (안타깝게도 현재로서는 구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또르륵) 이 책의 모태가 되는 '칼 세이건 살롱 2016'의 현장 스케치는 사이언스북스 블로그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칼 세이건 살롱 2016> 관련 도서]
[<코스모스> 3부작]
[칼 세이건 저서]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드뉴스] 초유기체란 무엇일까? (0) | 2017.08.10 |
---|---|
논문으로 읽는 칼 세이건 : 25세 청년, 우주 생물학을 창시하다! (0) | 2017.08.08 |
『인체 완전판』 2판 출간! 무엇이 추가되었을까? (2) | 2017.08.01 |
유기체를 넘어 초유기체로: 개미 사회 성공의 비밀 (2) (0) | 2017.07.14 |
유기체를 넘어 초유기체로: 개미 사회 성공의 비밀 (1) (0) | 201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