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완결된 연재/(完) 김병수의 GMO 가이드 (4)
ScienceBooks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간사 및 시민과학센터 부소장을 역임하고, 『한국 생명 공학 논쟁』, 『시민의 과학』의 저자인 김병수 성공회대학교 교수님에게 앞으로 한국 사회를 달굴 유전자 변형 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이슈에 대해 듣는 ‘김병수의 GMO 가이드’. GM 작물이 ‘지구 환경’ 그 자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GMO의 환경 위해성' 강연 그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우리가 살아가는 터전인 대한민국으로 범위를 좁혀서, 조용히 환경을 습격하고 있는 GMO 환경 방출의 현 상황을 김병수 교수님과 함께 알아봅니다. 김병수의 GMO 가이드 3-2. GMO의 환경 위해성 2: GMO의 습격 GMO의 상업 재배를 허용하지 않는 대한민국에서도 GM 작물이 자생하는..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간사 및 시민과학센터 부소장을 역임하셨고, 『한국 생명 공학 논쟁』, 『시민의 과학』의 저자인 김병수 성공회대학교 교수님에게 앞으로 한국 사회를 달굴 유전자 변형 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이슈에 대해 듣는 ‘김병수의 GMO 가이드’. 지난 번 연재에서 확인했던 대로 미처 알아차리지 못한 동안에 우리 식탁에서 한 자리를 차지한 GMO. 그 영향력은 어느새 인류의 손을 벗어나, 이제는 ‘환경’ 그 자체에 미치려 하고 있었습니다. GMO의 환경 위해성을 2주 연속으로 알아보는 이번 연재는 GMO의 힘이 지금 어디까지 닿아 있는지 김병수 교수님과 배워 볼 예정입니다. 우리가 모르는 사이 지구 곳곳에서 벌어졌던 GMO 오염 사건의 기록 속으로, 지..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간사 및 시민과학센터 부소장을 역임했고, 『한국 생명 공학 논쟁』, 『시민의 과학』의 저자인 김병수 성공회대학교 교수님에게 앞으로 한국 사회를 달굴 유전자 변형 식품(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이슈에 대해 들어 보는 ‘김병수의 GMO 가이드’ 두 번째 시간. 어느새 우리 곁에 다가온 GMO라는 존재를 확인했던 첫 번째 연재에 이어, 이번에는 우리 식탁에 GMO가 실제로 어떤 품종이 어떻게 올라오고 있는지 확인해 봅니다. 갈수록 다양화·복잡화되며 혼란과 불안을 키우고 있는 GMO 이슈에서, 김병수 교수님의 친절하고 명쾌한 설명은 우리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시야를 길러 주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지금 바로 함께하세요! 김병수의 GMO 가이드 2. ..

‘신의 선물’, ‘21세기 바벨탑’, ‘판도라의 상자’……. 우리가 그동안 들어 온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유전자 변형 작물)에 대한 묘사입니다. 동식물의 유전자를 변형하여 만들어진 이 생명체는 전 세계 시민 사회에서 윤리적, 종교적, 과학적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런데 대한민국이 한 해에만 1000만 톤(식용은 200만 톤)의 GMO를 수입하는 GMO 강국임을 알고 계셨나요?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먹을거리에 GMO가 얼마나, 어떤 게, 어떻게 들어가는지 전혀 모르고 있습니다. 사이언스북스에서는 2020년을 맞아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간사 및 시민과학센터 부소장을 역임했고, 『한국 생명 공학 논쟁』, 『시민의 과학』의 저자인 김병수 성공회대학교 교수의 G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