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이언스북스의 책 (233)
ScienceBooks

반쯤 잠긴 무대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습지주의자 김산하 지음 나는 습지에서 내 삶의 방식을 느꼈다 한국 최초 야생 영장류학자의 습지 예찬 현대 사회에서 습지는 ‘노는 땅’, 개발되기를 기다리는 땅으로 폄하됩니다. 설령 지구 표면적의 6퍼센트를 차지하며 10만 종에 달하는 생명의 서식지라는 사실을 알더라도 이는 경제 논리에 의해 쉽게 뒷전으로 밀려납니다. 간혹 일부 습지가 시혜적으로 생태 보전 구역으로 할당되어 개발을 면한다 해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도시에 둘러싸인 채 다른 생태계와 연결되지 못하고 고립된 습지는 실질적으로 제 가치를 발휘하지 못합니다. 그저 환경이 보전되고 있다고 우리를 안심시킬 뿐입니다. 이처럼 환경을 보전해야 한다는 당위에 대해서는 막연하게 공감하지만 생태학적 지식을 접할 ..

세상에서 가장 쓸모 있는 과학의 핵심 화학이란 무엇인가 피터 앳킨스 | 전병옥 옮김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화학 교과서의 저자가 선사하는 반나절 화학 교양 강좌! 우리는 화학의 산물에 둘러싸여 살고 있습니다. 의식주는 물론이고, 도시 문명의 인프라에 이르기까지 화학의 산물이 아닌 것이 없습니다. 사실 우리나라의 민생 경제도 화학에 의존하는 바가 큽니다. 2018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석유 화학 산업의 생산액과 수출액만 봐도 각각 90조 원, 58조 원에 이릅니다. 이번 노벨상을 일본과 미국에 안겨 준 리튬 이온 배터리 분야에서도 우리 화학 기업들(삼성SDI, LG화학 등)이 세계 시장의 30퍼센트를 장악하며 수출 산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누가 과학의 쓸모를 묻는다면, 화학이 이룬 것들을 보라고 하면 ..

천체 물리학자 닐 타이슨의 과학 토크 쇼 스타 토크 닐 디그래스 타이슨, 찰스 리우, 제프리 리 시몬스 | 김다히 옮김 내셔널지오그래픽 채널 인기 과학 팟캐스트로 만나는 밀리언셀러 과학 저술가 닐 타이슨과 스타들의 대화 과학과 창의성, 예술의 경이로운 만남! ― 《북리스트》 바로 이 때문에 모든 생명체들이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이 행성에서 물리 법칙이 다윈이 말한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라는 놀라운 과정을 통해 우리와 같은 생명체를 만들어 냈다는 사실은 참으로 놀랍습니다. ― 리처드 도킨스(진화 생물학자) 천체 물리학자이자 과학 커뮤니케이터인 닐 디그래스 타이슨이 진행을 맡은 프로그램인 「스타 토크」는 2015년부터 4년 연속 에미 상 정보 시리즈 분야 후보로 올랐으며 2019년에는 인터넷의 오스카 상인 ..

우리가 사랑한 작은 행성의 파란만장한 역사 명왕성 연대기 닐 디그래스 타이슨 │ 김유제 옮김 밀리언셀러 과학 작가가 들려주는 명왕성의 비밀 이야기 명왕성의 행성 자격 박탈에 얽힌 세계 천문학계의 숨겨진 이야기 역사는 2006년 8월 25일 이전과 이후로 나뉩니다. 그날 이전의 모든 날들은 BD(Before Dwarf, 왜소 행성 이전)이고 그 이후의 모든 날들은 AD(After Dwarf, 왜소 행성 이후)입니다. 명왕성의 행성 자격을 박탈하고 왜소 행성으로 추락시킨 2006년 8월 24일 국제 천문 연맹(IAU) 총회 투표일 이전과 이후로 천문학의 역사가 크게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AD 14년인 2019년 사이언스북스에서 펴낸 닐 디그래스 타이슨의 『명왕성 연대기: 우리가 사랑한 작은 행성의 파란만장한..

사진으로 엮은 생명의 방주 포토 아크 조엘 사토리 | 권기호 옮김 인류세의 멸종 쓰나미에 맞선 400여 멸종 위기 종의 존엄과 희망 이 책은 《내셔널 지오그래픽》에서 25년간 사진 작가로 활동해 온 저자 조엘 사토리가 2006년부터 10여 년 동안 해 온 ‘포토 아크’ 프로젝트의 결과물을 엮은 아카이브입니다. ‘포토 아크’ 프로젝트는 멸종에 맞서 살아 숨 쉬고 있는 1만 2000여 멸종 위기 종 모두를 사진으로 기록하기 위해 수립되었습니다. 점차 사라져 가는 생물 다양성을 우리 눈으로 직접 목격하게 하는 한편, 인류세(Anthropocene)에 임박한 여섯 번째 대멸종을 막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자문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조엘 사토리는 2006년 여름 미국 네브래스카 주의 링컨 어..

드디어 다윈 1 On the Origin of Species 종의 기원 찰스 다윈 지음 │ 다윈 포럼 기획 │ 장대익 옮김 │ 최재천 감수 『종의 기원』 출간 160년 드디어 다윈을 제대로 읽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다윈 사상의 출발점이라고 할 찰스 로버트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년 2월 12일∼1882년 4월 19일)의 『종의 기원(On the Origin of Species)』이 사이언스북스에서 「드디어 다윈」 시리즈의 첫 번째 책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옮긴이는 진화학자로서 기계 공학부터 영장류학과 생물 철학까지 다양한 분야를 넘나들며 연구하는 서울 대학교 자유 전공학부의 장대익 교수가 맡아 주었고, 감수는 한국 진화 생물학계의 대표자이며, 행동 생태학의 세계적 ..

과학 수다 3 신경 정치학부터 통계 물리학까지 인간에 대한 과학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이명현, 김상욱, 강양구 지음 과학 수다 4 AI에서 중력파, CRISPR까지 최첨단 과학이 던진 질문들 과학, 누구냐 넌? 이명현, 김상욱, 강양구 지음 과학 수다와 함께라면 당신도 언제 어디서나 과학을 말할 수 있다! ‘과학 수다’는 과학 기술계의 최신 이슈를 놓고 과학자들이 수다를 떨면서 직접 독자들에게 과학 지식을 들려주는 형식으로 구성된 과학 콘텐츠입니다. 이 책에 실린 수다들은 각 주제에 맞춤한 전문가를 모신 자리에서 저자 이명현·김상욱·강양구의 진행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던지고 이야기를 이끄는 ‘수다’ 형식은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기존 과학 콘텐츠의 한계를 탈피하고자 했습니다...

작아서 더 아름다운 미생물학 강좌 아름다운 미생물 이야기 김완기, 최원자 지음 미생물(微生物)은 미생물(美生物)이다! 미생물학의 과거, 현재, 미래 미생물의 탄생과 진화 다 모았다! 40여 년간 미생물을 연구해 온 분자 생물학과 바이오테크놀리지의 권위자들이 들려주는 미생물학 이야기 보따리 1부 미생물의 행진 생명이란 무엇일까요? 생물학적으로 볼 때 살아 있는 생명체는 엄밀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닙니다. 자라고, 물질 대사를 하고, 외부적으로나 내부적으로 움직이고, 자신과 닮은 개체를 생산하고, 외부 자극에 반응합니다. 이를 위해서 탄수화물, 지질, 핵산, 단백질과 같은 성분을 지니고, 살아가기 위해 에너지와 물질을 필요로 하며,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또한..

우주에 우리만 있는가? 침묵하는 우주 폴 데이비스 지음 / 문홍규, 이명현 옮김 우주의 침묵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현대 물리학의 사상가 폴 데이비스가 우주에 묻는다! 20세기 과학자들은 “우주에 우리만 있는가?”라는 오래된, 그리고 매혹적일 정도로 위험한 이 질문에 ‘전파 천문학’이라는 신기술을 들고 도전해 왔습니다. 세티(SETI), 즉 외계 지성체 탐색(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연구 프로젝트가 바로 그것입니다. 세티 프로젝트는 내년, 즉 2020년이면 60주년을 맞습니다. 수많은 천재 과학자들이 온갖 아이디어를 짜내며 전파 망원경으로 하늘 전체를 훑었지만, 우주는 절망적으로 섬뜩한 침묵을 고수하고 있을 뿐입니다. 정말로 우주에..

아이들은 도대체 어떻게 언어를 배울까? 언어의 아이들 조지은, 송지은 지음 옥스퍼드 대학교 교수와 유니버시티 칼리지 연구원이 들려주는 언어의 과학 아이와 어른은 다른 방식으로 언어를 배운다 언어의 아이들은 어떻게 언어의 어른들이 되어 가는 것일까?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기억하지 못하는 이야기. 누구나 궁금해 하고 누구나 알고 싶어 하지만 누구도 처음부터 끝까지 이야기해 주지 않았던 이야기. 알알이 구슬로만 흩어져 있던 그 이야기들이 두 언어학자의 손을 거치니 어느새 잘 꿰어진 보배가 되어 우리 앞에 놓인다. 속이 시원해지고 눈이 밝아진다. ─신지영(고려 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언어학과 아동학이 서로에게 다가가 하나가 되어 탄생한 책. 영유아의 언어 습득 단계를 생생하게 보여 주고, 아이들의 음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