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완결된 연재/(完) 과학 수다 (14)
ScienceBooks
과학의 세계로 이끄는 흥미롭고 친절한 안내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주최/ 프레시안 공동기획 '과학 수다' 코너를 사이언스북스 블로그에서도 소개합니다. 과학 수다는 매월 첫 째주에 아태이론물리센터 웹진 크로스로드와 프레시안 books를 통해 소개됩니다. 후쿠시마 사고 이후에 핵발전소를 둘러싼 불안감이 부쩍 커졌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핵 없는 세상'을 꿈꾸는 이들의 목소리가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핵발전소가 인류가 제정신을 잃고 있었던 제2차 세계 대전의 와중에 등장한 원자폭탄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면, 이런 자각은 늦은 감이 있습니다. 그런데 한쪽에서 핵발전소의 문제점을 지적할 때마다, 목소리가 커지는 에너지가 있습니다. 바로 핵융합 에너지입니다. 핵융합 에너지는 우라늄 원자핵..
과학의 세계로 이끄는 흥미롭고 친절한 안내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주최/ 프레시안 공동기획 '과학 수다' 코너를 사이언스북스 블로그에서도 소개합니다. 과학 수다는 매월 첫 째주에 아태이론물리센터 웹진 크로스로드와 프레시안 books를 통해 소개됩니다. 최근 몇 년간 과학기술 분야의 가장 뜨거운 열쇳말 중 하나는 '3D 프린팅'입니다. 불과 3년 전만 하더라도 거의 들어본 적이 없었던 3D 프린팅, 3D 프린터는 이제 신기술에 관심이 있는 이라면 누구나 입에 올리는 말이 되었죠. 구글(google.com)에서 '3D Print'를 검색한 비율은 2011년 이후 지난 2년 새 비약적으로 증가했습니다.책의 사정도 다르지 않아요. 2013년에 (호드 립슨·멜바 컬만 지음, 김소연·김인항 옮김, 한스미..
과학의 세계로 이끄는 흥미롭고 친절한 안내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주최/ 프레시안 공동기획 '과학 수다' 코너를 사이언스북스 블로그에서도 소개합니다. 과학 수다는 매월 첫 째주에 아태이론물리센터 웹진 크로스로드와 프레시안 books를 통해 소개됩니다. 지금은 그 열기가 한 풀 꺾였지만 1997년부터 2007년까지 10년간 전 세계를 열광시켰던 동화 속 주인공이 있습니다. 바로 해리 포터죠! 1997년 10대 초반에 해리 포터를 처음 접했던 친구들이 벌써 20대 중반이 되었으니 시간이 참으로 빠르죠? 그런데 혹시 속에 나오는 수많은 마법들 중에서 가장 기억나는 건 뭔가요?아마 세 가지 '죽음의 성물' 아닐까요? 세상에서 가장 힘이 센 마법 지팡이, 죽은 사람도 살릴 수 있는 생명의 돌 그리고 심..
과학의 세계로 이끄는 흥미롭고 친절한 안내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주최/ 프레시안 공동기획 '과학 수다' 코너를 사이언스북스 블로그에서도 소개합니다. 과학 수다는 매월 첫 째주에 아태이론물리센터 웹진 크로스로드와 프레시안 books를 통해 소개됩니다. 1963년 9월 전라북도 전주. 아홉 살 소녀가 학교에서 돌아오자마자 실신했습니다. 급히 병원으로 옮겨진 소녀는 손을 쓸 시간도 없이 숨을 거두고 말았죠. 소녀의 배를 연 의사는 소녀의 장이 꿈틀거리는 회충으로 가득 차 있는 것에 경악했습니다. 소녀한테서 나온 회충은 총 1063마리. 이른바 '회충 살인 사건'입니다. 이 사건이 준 충격 때문이었는지 1964년 6월 회충 박멸 등을 목표로 한국기생충박멸협회가 창립되었습니다. 그리고 80%가 넘던 ..
과학의 세계로 이끄는 흥미롭고 친절한 안내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주최/ 프레시안 공동기획 '과학 수다' 코너를 사이언스북스 블로그에서도 소개합니다. 과학 수다는 매월 첫 째주에 아태이론물리센터 웹진 크로스로드와 프레시안 books를 통해 소개됩니다. "그 후 8년, 그래도 줄기세포는 있다." 지난 7월 6일 이런 비장한 제목의 탐사(?) 보도 프로그램이 공영 방송의 공중파를 탔습니다. 지난 5월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학의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가 세계 최초로 인간 복제 배아 줄기세포를 만들어낸 사실이 알려지자 한국 언론에서는 부쩍 이런 식의 보도가 늘었습니다. 조작 논문, 난자 매매 등 추문으로 얼룩진 '황우석 트라우마' 때문에 세계 최고 수준이었던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가 발이 묶인 틈에, ..
과학의 세계로 이끄는 흥미롭고 친절한 안내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주최/ 프레시안 공동기획 '과학 수다' 코너를 사이언스북스 블로그에서도 소개합니다. 과학 수다는 매월 첫 째주에 아태이론물리센터 웹진 크로스로드와 프레시안 books를 통해 소개됩니다. 1961년 겨울 미국 북동부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 시. MIT의 과학자 에드워드 로렌츠는 당시로서는 상당히 성능이 좋은 컴퓨터로 기상 예측 모델을 시험 중이었습니다. 마치 만유인력의 법칙으로 지구와 행성의 운동 경로를 예측할 수 있듯이, 정확한 법칙만 발견한다면 날씨를 예측하는 일도 가능하리라고 믿었던 시절이었죠. 컴퓨터는 그 강력한 도구였고요. 그러던 어느 날, 로렌츠는 몇 달 전에 한 번 작업했던 기상 예측 시뮬레이션을 다시 한 번 검토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