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종필 (24)
ScienceBooks
과학의 대중화, 대중의 과학화에 복무해 온과학 지식의 허브 사이언스북스가 선사하는 특별한 만남! 과학 전문 출판사 (주)사이언스북스가 2017년 3월 24일로 창립 20주년을 맞이해 독자들과 최고의 과학자들이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합니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를 번역한 홍승수 서울 대학교 명예 교수를 시작으로, 한국 최고의 행동 생태학자이자 통섭의 전도서 최재천 이화 여자 대학교 석좌 교수, 빅뱅 우주론의 대중화를 선도한 은하 연구의 세계적 권위 이석영 연세 대학교 교수, 생명과 우주의 진화를 철학하고 『종의 기원』을 번역 출간할 장대익 서울 대학교 교수 같은 기라성 같은 지성들의 강의가 2017년 내내 이어집니다. 자세한 내용은 사이언스북스 블로그, 페이스북 등 SNS 채널을 통해 추후 공개될 ..
2013년 노벨 물리학상, 노벨 생리의학상 특강 역시 사이언스북스 행사는 아닙니다만...^^ 얼마 전에 소개했던 혜성 관련 행사에 이어 이번에도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의 강연 소식입니다. 『물리학 클래식』의 이종필 박사님과 작년 책 대 책 대담(「리제 마이트너」 vs. 「마리 퀴리」) 때 서평자이자 대담자로 나와주셨던 송기원 교수님이 각각 노벨 물리학상과 노벨 생리의학상 관련 강의를 해주시네요. 강연 일정 및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강 : 노벨 물리학상 - 12월 12일(목) 19:00~21:00 : 이종필 교수 (고려대학교)힉스 입자가 왜 신의 입자라 불리게 되었는지부터, 과연 힉스 입자란 무엇이며, 과학자들이 왜 그 소립자에 목을 매는지, 신의 입자의 탄생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본다...
고려대학교 대학원 전기전자공학과 2013년 2학기 정기 세미나 중 지난주(10/10) 이종필 박사님의 강연 '신의 입자를 찾아서' 강연 동영상(유튜브 링크) 10월 8일에 힉스 메커니즘 관련해 피터 힉스 & 프랑수아 엥글레르가 2013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고 난 직후인 10월 10일의 힉스 관련한 강연이네요. 수상을 예측하시고 이 날짜로 강연 커리큘럼을 계획하셨겠지만, 아주 적절한 타이밍이네요. 힉스 메커니즘에 관련해 알고 싶으신 분들은 강연 동영상 한 번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종필 박사님 강연 참고 문헌 (동영상 2분 쯤에 먼저 참고 도서를 소개해 주시네요.^^)이종필, 이종필, 이강영, 이강영, 김제완, 스티븐 와인버그, 스티븐 와인버그, 리사 랜들, 리사 랜들, 강연 동영상 공개해 주신..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출간 기념 이벤트인터넷 서점에서 구매하신 독자분들을 대상으로 추첨으로 추가 적립금 2천원, 그리고 「물리학 클래식」의 저자 이종필 박사님의 온라인 강의 '이종필의 生生 물리학 1' 수강권을 드립니다. * 이종필의 생생 물리학 1 정보 보기(클릭) 예스24 가기 교보문고 가기 알라딘 가기 인터파크 가기 도서 11번가 가기 * 링크는 등록되는 대로 추가 예정입니다.
한국과학창의재단 선정 '2012년 하반기 우수과학도서'에 이종필 박사님의 「물리학 클래식」이 선정되었습니다! 상반기 우수과학도서에 선정되었던 사이언스북스의 책으로는 「뫼비우스의 띠」, 「다윈 지능」, 「요리 본능」, 3종도 있지요. :-)'2012년 하반기 우수과학도서'는 아동 부문(4종), 초등 부문(6종), 중.고등 부문(5종), 대학.일반 부문(18종), 만화(2종), 시리즈 부문(3종), 등 총 10개 부문 38종의 책이 선정되었고, 「물리학 클래식」은 대학.일반 부문 중 한 권으로 선정되었습니다. 한국과학창의재단 홈페이지에서 선정 도서 목록 PDF로 다운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 http://www.kofac.re.kr/www/inform/k1-3-2/userBbs/bbsView.do?bbs..
「물리학 클래식」에서 소개하는 현대 물리학의 흐름 한 번에 보는 현대 물리학의 흐름, 어떤가요? 「물리학 클래식」에서 소개하는 10편의 논문 제목과 원 논문 다운로드 링크를 소개합니다. 직접 논문을 확인해 보실 분은 제목 옆의 DL 버튼을 클릭하시면 원논문을 받으실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No. 저자 제목논문 1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움직이는 물체의 전기 동역학에 관하여DL 2 어니스트 러더퍼드 물질에 의한 알파 및 베타 입자의 산란과 원자의 구조DL 3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중력의 장 방정식DL 4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운동학적 역학적 관계들에 대한 양자 이론적 재해석DL 5 에드윈 허블 외계 은하 성운들의 선속도와 거리 사이의 관계DL 6 존 바딘, 월터 브래튼 트랜지스터, 3극 반도체DL 7 존 ..
물리학 클래식 물리학의 20세기 역사에서 가장 창의적이고, 역사를 바꾼 논문 10편을 골라 그 논문이 등장하게 된 역사적, 학문사적 맥락과 그 후의 영향에 대해 소개하는, 「물리학 클래식」!지난 10월 16일, 오마이뉴스 TV '저자와의 대화'를 통해 이종필 박사님의 「물리학 클래식」 해설 강연이 있었습니다. 클래식이 된 현대 물리학 (Modern Physics as a Classic)란 제목의 강연으로, 물리학에 관심 있는 많은 분들이 참석해 주셨습니다. 강연을 아깝게 못 들으신 분들은 유튜브 및 팟캐스트로 보실 수 있습니다. (팟캐스트는 '오마이뉴스 저자와의 대화'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물리학 클래식」에서 소개하는 10편의 논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No. 저자 제목연도 1 알베르트 아인슈타..
책 대 책 9월 20일자 대담 「LHC, 현대 물리학의 최전선」 vs. 「신의 입자를 찾아서」 신의 입자 지상에 내려오다 과학의 역사에서 이정표가 되었거나 과학 대중화에 지대한 공헌을 한 책을 중심으로 인물 대 인물, 이론 대 이론, 명강의 대 명강의 등 두 권의 책을 비교 분석하는 . 그 열두 번째 대담회가 APCTP(아태이론물리센터)와 사이언스북스, 채널예스 공동 기획․주관으로 지난 9월 20일(목) 저녁 7시 강남 출판 문화 센터 5층 민음사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2012년 7월 4일, CERN(유럽공동원자핵연구소)의 입자 가속기 LHC(거대 강입자 가속기)에서 활동하는 두 실험 그룹이 각각 독립적으로 125GeV(기가 전자볼트) 근방의 질량을 가진 새로운 입자의 발견을 발표하였다. 이 입자의 성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