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완결된 연재/(完) 강양구의 과학의 품격 (3)
ScienceBooks

코로나19 사태가 드디어 판데믹(pandemic) 국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동시에 인포데믹(infodemic), 즉 가짜 뉴스나 잘못된 정보가 감염병처럼 확산되는 상황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치료약이나 백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지만, 가짜 뉴스에 대한 치료약과 백신은 준비되어 있습니다. 과학적 팩트체크와 ‘의심’의 정신입니다. 까칠한 과학 큐레이터 강양구 기자의 코로나19 네 번째 팩트체크 칼럼입니다. 강양구의 과학의 품격 코로나19 팩트체크 7 (2020년 3월 30일) 1. 코로나19 바이러스, 한국은 정점을 찍었나? 한국의 방역이 성공했다 실패했다 평가하기에는 시기상조다. 2020년 3월 30일 현재로서는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입출국을 막지 않고 엄청난 자원을 동원한 수색을 통해서 ..

『과학의 품격』의 저자인 지식 큐레이터 강양구 기자가 코로나19에 대한 세 번째 팩트체크 칼럼입니다. 1월부터 코로나19 사태를 치밀하게 추적해 온 강양구 기자는 코로나19에 대한 최근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시민을 불안과 혼란에 빠뜨리고, 공포를 부추겨 온 혼란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습니다. 독자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강양구의 과학의 품격 코로나19 팩트체크 7 (2020년 3월 9일) 코로나19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신종 바이러스다. 본격적으로 전파가 시작된 지 석 달째가 되지만 여전히 모르는 게 많다. 하루에도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연구가 쏟아진다. 그 가운데 일부는 언론의 자극적인 보도를 통해서 대중의 공포를 자극하는 데에 이용된다. 몇몇 전문가도 이런 연구를 맥락 없이 언급하면서 혼란과 불안..

『과학의 품격』의 저자인 지식 큐레이터 강양구 기자가 코로나19 감염증에 대한 최근 진행 상황을 종합 정리한 원고를 오늘 오전 보내왔습니다. 29, 30번째 확진자로 새롭게 부각된 지역 사회 감염 위험 문제와 일본의 미진한 대응 등 새롭게 부각된 문제와 백신 및 치료제 관련 최근 성과, 그리고 시민 사회의 대응 방법 등에 대해 논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에 대한 여러분의 지식과 정보를 업데이트해 줄 글이 될 것입니다. (이번 글부터 「강양구의 과학 블랙박스」는 「강양구의 과학의 품격」으로 이름을 바꿔 연재될 것입니다. 독자들의 많은 관심을 바랍니다.) 강양구의 과학의 품격 코로나19 팩트체크 16 (2020년 2월 17일 업데이트 버전) 1. ‘코로나19’ 29번 환자가 변수다! 2월 16일, 정부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