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책 이야기/동영상으로 보자 (71)
ScienceBooks

1월 14일 목요일 jtbc 에 이재담 전 울산의대 교수님이 출연하였습니다. '사람을 죽이는 의학에서 살리는 의학으로'라는 제목으로 이루어졌던 강연에서 교수님이 풀어 놓으셨던, 소름 돋게 무섭고 안타까운 시행착오 이야기들과 결국은 사람을 살리는 길로 이어졌던 이야기 몇 가지를 가지고 와서 공유해 드립니다. 1. 종교와 의학을 분리한 '의학의 아버지' 서양 의학에서 수천 년을 계속되었던 사혈 치료. 피를 뽑는 것으로 병을 고칠 수 있다는 이 치료를 뒷받침하는 것이 사람의 몸은 피, 점액, 황담즙, 흑담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균형을 이루어야 건강하다는 고대 그리스의 4체액설이었는데요. 현대인의 눈으로 보기에는 과연 의학인지 의구심이 들 정도지만, 생명을 하늘에 맡기는 것에서 벗어나 사람의 목숨을 구해..

고재현 한림 대학교 나노융합스쿨 교수님의 『빛의 핵심』의 출간을 기념해 「빛의 핵심 강의+실험」을 5주간 유튜브로 함께 보았습니다. 김범준 교수님이 열광하는 “하늘 사진을 찍는 빛의 물리학자” 고재현 선생님과 함께, 김상욱 교수님이 감탄한 “빛 박사에 의한, 빛에 대한, 빛나는 책”, 『빛의 핵심』을 읽어나가는 시간입니다. 책 내용에서 뽑은 실험이 실제로 시연되는 장면도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고재현 교수와 함께 읽는 『빛의 핵심』 책 소개 빛의 속도로 태양에서 출발하면 지구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빛알의 여행은 어디로 이어질까요? 『빛의 핵심: 물리학자 고재현의 광학 이야기』는 빛이란 무엇인지, 빛이 우리 삶에서 어떤 작용을 하고 있는지 낱낱이 살펴보는 책입니다. 자연 현상 속에 숨어 있는 빛의 핵심 ..

고정 팬층을 쌓으며 마무리 되었던 「칼 세이건 살롱 2020」 시즌1에 이어 시즌2에선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와 번외 편으로 『브로카의 뇌』를 읽었습니다. 『코스모스』 특별판의 챕터를 한 편씩 읽으며 각 챕터를 읽을 때 염두에 둬야 하는 키워드들을 소개하고, 칼 세이건이 그 키워드들을 어떻게 다뤘는지, 그의 문장과 함께 깊이 살펴보았습니다. 코스모스 키워드 영상 중 인기있었던 몇 편을 모아 소개합니다. 벽돌책 『코스모스』 읽기의 가이드를 제공하며 좀 더 쉽고 깊은 독서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남은 영상들도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코스모스 키워드1] 과학자의 메일함? 칼 세이건의 타임캡슐 「한국어판 서문」과 「머리말」을 읽으며 뽑은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마지막으로 병원에 가던 날, 칼이..

사이언스북스의 「칼 세이건 살롱 2020」 시즌1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칼 세이건 살롱 2020」은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책을 독자 여러분과 함께 읽은 「칼 세이건 살롱 2014」, 충정로 벙커에서 13주에 걸쳐 앤 드루얀이 제작하고 닐 디그래서 타이슨이 나레이터로 출연하여 「코스모스: 스페이스타임 오디세이」를 함께 본 「칼 세이건 살롱 2016」을 이은 칼 세이건 콘텐츠의 최신 편입니다. 과학 저술가이자 천문학자인 이명현 박사님, 여행 드로잉 작가이자 과학책방 갈다의 이사로 재직 중인 이미영 선생님이 독자 여러분을 위한 가이드로 나서 주셨는데요. 함께 앤 드루얀의 『코스모스: 가능한 세계들』을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읽었습니다. 0편부터 14편까지 총 15편의 영상이 사이언스북스 공식 유..

사이언스북스의 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사이언스북스에서 칼 세이건 살롱 2020을 새롭게 시작합니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책을 독자 여러분과 한 챕터, 한 챕터 함께 읽은 「칼 세이건 살롱 2014」, 과학 콘텐츠 제작 기업 과학과 사람들과의 공동 기획으로 충정로 벙커에서 13주에 걸쳐 앤 드루얀이 제작하고 닐 디그래서 타이슨이 나레이터로 출연한 「코스모스: 스페이스타임 오디세이」를 함께 본 「칼 세이건 살롱 2016」을 이은 「칼 세이건」 콘텐츠의 최신 편입니다. 이번에도 과학 저술가이자 천문학자인 이명현 박사님, 여행 드로잉 작가이자 과학책방 갈다의 이사로 재직 중인 이미영 선생님이 독자 여러분을 위한 가이드로 나서 주십니다. 칼 세이건 살롱 2020의 첫 번째 시리즈, '『코스모스 가능한 세계..

수다를 만나면 과학이 만만해진다! ‘과학 수다’가 전국 곳곳의 독자 여러분을 직접 찾아가는 「과학 수다가 만나러 갑니다」가 작년 한 해 동안 제주도 한라 도서관에서 「2019 제주 북드림 과학 수다 콘서트」라는 이름으로 개최되었습니다. 과학 책방 ‘갈다’의 이명현 대표, 경희 대학교 물리학과의 김상욱 교수, 지식 큐레이터 강양구 기자까지 세 명의 저자가 게스트를 모시고 흥미로운 최첨단 이야기를 펼쳐 나가는 『과학 수다』 시즌 2는 지난 2019년 5월 3,4권 『대통령을 위한 뇌과학』 과 『과학, 누구냐 넌?』 으로 출간되었지요. 두 권의 출간을 맞아 시작한 「과학 수다가 만나러 갑니다」 시즌 2에서도 과학 수다의 필자들은 유감없이 입담을 발휘했습니다. 바다 건너 제주에서 1년 동안 펼쳐진 「과학 수다가..

에서 허민 교수님을 만나다 4월 29일 수요일 jtbc 에 공룡박사 허민 교수님이 출연하였습니다. 해당 방송에서 이야기했던 공룡 이야기 중 몇 가지를 공유해 드립니다. 1. 충격 주의※ 매끈한 피부의 공룡, 사실 '깃털'로 덮여 있었다! 매끈한 피부 대신 온몸이 털로 덮인 '벨로키랍토르' , 새처럼 깃털이 있던 '유타랍토르' , 털로 체온 유지를 한 '티라노사우루스' 최근 깃털 속 멜라닌을 분석해 공룡들의 색도 다양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매끈한 피부 대신 다양한 색상의 깃털을 가지고 있는 공룡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2. 살 떨리는 폭군의 클라스, 공룡의 제왕 '티라노사우루스' 티라노의 이빨 하나는 큰 바나나 정도 크기이며 티라노의 작은 앞다리가 무의미했던 이유는 입으로 사냥한 고기를 한 번에 ..

가드너 박원순의 『식물』특강 에버랜드 가드너 박원순 선생님과 함께하는 다섯 번째 식물 수업 「꽃」 편은 꿀벌과 새는 물론이고 식물학자와 화가 모두를 매료시킨 경이로운 꽃의 비밀을 들여다보는 순서입니다. 꽃가루를 나르는 벌들은 보라색 꽃을 더 좋아하고, 어떤 새들은 주황색과 붉은색 꽃에 이끌린다고 합니다. 빈센트 반 고흐가 그린 해바라기, 조지아 오키프가 그린 난초는 시대를 초월해 마음을 사로잡습니다. 식물이 지닌 놀라운 복잡성 덕분에 우리는 생명을 얻고 예술적 영감을 누리고 있습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 때문에 꽃 구경도 미뤄진 코로나 시대, 『식물』과 함께 봄의 향기를 맡아 보시면 어떨까요? 『식물 대백과사전』을 우리말로 옮긴 박원순 선생님은 원예학을 전공하고 세계 각지의 정원에서 경험을 쌓아 온 가드너..

닐 타이슨과 래리 킹의 영상을 공유합니다. 사람이 죽으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에 대한 닐 타이슨의 생각을 들을 수 있는 인터뷰 영상입니다. 영상 아래에 대화 내용을 한글로 번역한 텍스트도 있으니 참고해서 봐주세요. 닐 타이슨의 재치 있는 대답이 마음에 들었다면, 이번에 새로 나온 『스타 토크』도 함께 읽어보세요. - 웜홀을 통해 우주를 여행할 수 있나요? - 신은 정말 존재하나요? - 좀비들은 언제 오나요? - 아인슈타인이 ‘신’이라는 단어를 그토록 많이 쓴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요? - 언제쯤 시간 여행을 할까요? 살면서 한 번쯤 가져봤을 별난 생각, 누구도 쉽게 답해주지 못한 엉뚱한 질문을 닐 타이슨이 흥미롭고 위트 있게 풀어내는 과학 책입니다! 『스타 토크』 [도서정보] 래리 킹: 사실과 믿음에 관해..
에서 송기원 교수님을 만나다 jtbc 방송 캡처 화면. 1월 23일 수요일 jtbc 에 송기원 연세 대학교 생명 시스템 대학 생화학과 교수님이 출연하였습니다. 해당 방송에서 이야기했던 현대 생물학 이야기 중 몇 가지를 가지고 와서 공유해 드립니다. 1. DNA 구조 발견 속에 숨겨진 이야기 유전 정보는 DNA의 배열 방식에 따라 결정됩니다. 때문에 DNA는 생물학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요소죠. 이 DNA 구조를 최초로 밝혀낸 왓슨과 크릭은 유전학의 기초를 닦은 공로로 노벨상을 수상합니다. 그런데 이 발견 속에는 비운의 여성 과학자의 이야기가 숨겨져 있습니다. 바로 로잘린드 프랭클린인데요. DNA의 기본 개념과 DNA 구조 발견에 숨겨진 이야기들을 들려드립니다. jtbc 방송 캡처 화면. * *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