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연재) 사이언스-오픈-북 (96)
ScienceBooks

한국의 대표 과학 저술가 하리하라가 들려주는, 교과서도, 노벨상 수상자도, 유튜브도 가르쳐 주지 않는 비밀스러운 생물학 에세이 『엄마 생물학』에 대한 리뷰를 《과학동아》의 이영혜 편집장이 보내왔습니다. 이영혜 편집장은 지난 3월 12일 송기원 연세대 교수님과 이은희 선생님이 함께 참여했던 북토크, “생명과 그 깃듦에 관하여”의 사회를 맡기도 했던지라, 하리하라 선생님이 이 책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가 무엇인지 한발 먼저 직접 듣고 생생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일독을 권합니다. 다섯 살, 이제 막 유치원에 다니기 시작한 아이의 엄마이자 과학 잡지 편집장인 내게 하루하루는 그야말로 시간과의 전쟁이다. 그런 일상 속에서 업무가 아닌 책을 읽고, 북토크까지 준비하는 일은 당분간 어렵..

미세 먼지 지수부터 노조 조직률, 합계 출산율까지 대한민국을 관통하는 20개의 데이터를 통해 숫자 이면의 의미를 추적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에세이 『숫자 한국』. 대한민국의 오늘을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동시에 우리 사회의 미래를 설계하는 데 필요한 귀중한 통찰을 주는 이 책을 먼저 읽고 경험담을 공유하는 이 연재도 어느덧 마지막을 앞두고 있습니다. 『숫자 한국』 체험 후기를 빛내 주실 마지막 참여자는 금융·경제 전문 뉴미디어 어피티의 CCO, 김정인 선생님입니다. 실생활의 사례를 통해 교과서만으로는 이해되지 않는 경제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전하고 계신 김정인 선생님이 『숫자 한국』에서 발견한 가능성과 힘은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함께 읽어 보시겠습니다. 미세 먼지가 큰 사회적 이슈였던..

최근 한국 사회를 충격에 빠트린 비상 계엄 사태. 그 배경에는 2020년 사전 투표의 평균 득표율이 일정했다는 사실을 근거로 한 부정 선거 음모론이 있었습니다. 같은 숫자를 보고도 다른 해석을 내놓거나 음모론에 빠지는 사람이 늘어나는 요즘, 숫자를 올바르게 읽는 것을 넘어 이런 숫자를 누가 어떤 의도로 만들어 낸 것인지 고민해 보자고 말하는 이가 있습니다. 바로 2022년부터 《중앙일보》에 「박한슬의 숫자 읽기」를 연재 중인 ‘글 짓는 약사’ 박한슬 작가입니다. 그의 연재글을 책으로 옮긴 『숫자 한국』에 이번에는 세계 곳곳의 이슈를 해박한 지식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50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의 운영자께서 추천사를 써 주셨습니다. ’지구본 연구소’의 호기심 대마왕 최준영 박사님께서 읽어..

미세 먼지 지수에서 노조 조직률, 합계 출산율까지 20개의 숫자로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에세이 『숫자 한국』. 대학 병원 약사 출신으로 통계학을 전공했고, 현재는 사회적 글쓰기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는 ‘글 짓는 약사’ 박한슬 작가가 제시하는 이 처방전을 체험해 본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유튜브 채널 ‘언더스탠딩’,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금융·경제 전문 뉴미디어 ‘어피티’ 같은 유력 매체를 이끄는 명사들입니다. 지금부터 3주 동안 진행될 이 연재의 첫 번째 순서로, 지식 콘텐츠 채널 언더스탠딩의 안승찬 대표님께서 『숫자 한국』을 먼저 읽고 깨달은 지혜와 통찰을 독자들에게 전합니다. 숫자는 힘이 있다. 숫자가 가진 구체성 때문이다. 숫자만 잘 확인해도 안개가 걷히듯 ..

1960년 탄자니아 곰베 국립 공원에서 제인 구달 박사님이 시작한 야생 침팬지 연구로 과학계가 침팬지와 인간이 생물학적으로만이 아니라 지능과 행동 면에서도 닮았음을 인정하게 되었습니다. 《워싱턴 포스트》가 20세기 가장 위대한 과학적 업적 중 하나라고 칭한 야생 침팬지 연구, 보호와 교육 활동의 정수가 담긴 『창문 너머로』를 동물 행동학자 최재천 교수님과 함께 읽어보시겠습니다. 제인 구달의 책은 대략 세 부류로 나뉜다. 우선 『제인 구달: 침팬지와 함께한 나의 인생(My Life with the Chimpanzees)』을 비롯한 일대기 내지는 위인전이 수없이 많다. 몇 권을 빼고는 대개 다른 저자가 그에 관해 쓴 책들이다. 그 다음은 이른바 ‘희망 시리즈’ 책들이다. 『희망의 이유(Reason for ..

역사상 최초로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mRNA 백신 성공 이후, 코로나19 바이러스 재유행과 맞물려 RNA의 잠재력에 대한 각계의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뜨겁습니다. 태초의 물질, 생명 현상의 조절자, 미래의 분자 RNA가 성큼 다가온 것입니다. 무궁무진한 가능성,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에서 『RNA 특강』에 담긴 송기원 연세 대학교 생화학과 교수님의 핵심 강의로 RNA가 간직한 비밀의 실마리를 발견하시기 바랍니다.DNA 시대에서 RNA 시대로, 생명의 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우리는 코로나19바이러스 세계적 대유행의 긴 터널을 지났다. 그간 많은 이의 관심에서 비켜나 있던 생명 과학은 갑자기 모두의 관심 영역이 되었다. 생명 과학 관련자들이 주로 사용했던 PCR, 항원 항체 반응 같은 용어도 코로나19바이러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