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1/02 (2)
ScienceBooks

코로나가 장기화되면서 학부모들의 고민이 깊어 가고 있습니다. 자녀들의 공부 고민이죠. 특히 비대면 교육이 일상화되면서 아이들이 컴퓨터 화면을 통해 보고 있는 게 게임인지, 코딩 수업인지 구분하기 힘들어진 게 현실입니다. 그렇다고 학교 다닐 때처럼 컴퓨터 사용 시간을 통제해서 게임과 공부를 구분할 수도 없죠. 게다가 아이가 “나는 커서 게임 만들 거니까 수학 공부는 필요 없어!”라고 말한다면 답답하겠죠. 마스크보다 더 답답한 학부모들의 마음을 대변한 고호관 선생님의 수요 수학 에세이를 소개합니다. 한번 읽어 보시죠. 고호관의 수요 수학 에세이 19편 나는 생각한다, 고로 수학한다 19편 수학으로 게임하기, 게임으로 수학하기 언젠가 인터넷을 돌아다니다가 이미지 하나를 본 적이 있다. 어떤 꼬마 하나가 수학 ..

새해를 맞이하여 새로운 결심으로 뛰어나갈 준비가 되신 분들은 『달리기의 과학』과 함께 달리시는 것은 어떨까요? 지속 가능하고 안전하며 행복한 달리기 메커니즘을 소개하는 ‘달리기 과학자’ 크리스 네이피어 박사의 『달리기의 과학: 당신의 달리기를 완성하는 해부학과 생리학의 원리』를 우리말로 옮기신 해부학자 김호정 교수님의 소개로 ‘운동의 과학’ 시리즈를 열고자 합니다. 인간은 직립함으로써 걸을 수 있게 되었고 걸을 수 있는 인간은 달릴 수 있는 능력도 갖게 되었다. 인간에게 달리기란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 물론 달린다는 것이 인간이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은 아니지만 인간이라면 스스로 걷고 달릴 수 있는 것에 큰 즐거움과 삶의 동기 부여가 되는 경우가 많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해 건강에 대한 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