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2 (6)
ScienceBooks

포스트 코로나 시대인 지금은 먼 과거처럼 느껴지지만, 한때 미세 먼지가 사회적 이슈의 중심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과연 그때 미세 먼지는 중국에서 온 것이었을까요, 아니면 생선을 밀폐 공간에서 구워 댄 탓이었을까요? 최근 강력 사건만 발생했다 하면 “조현병 환자”라는 단어가 법칙처럼 등장하는데, 앞으로도 계속 그럴까요?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 대학 병원 약사 출신으로 통계학을 전공한 “글 짓는 약사” 박한슬 작가님의 신간 『숫자 한국』에 그 답이 있습니다. 미세 먼지 지수, 노조 조직률, 합계 출산율 등 우리 사회를 관통하는 20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는 숫자의 힘과 숫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지혜를 말하는 책입니다. 이번 과학+책+수다에서는 이 책이 어떻게 태어났는지,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인 지금은 먼 과거처럼 느껴지지만, 한때 미세 먼지가 사회적 이슈의 중심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과연 그때 미세 먼지는 중국에서 온 것이었을까요, 아니면 생선을 밀폐 공간에서 구워 댄 탓이었을까요? 최근 강력 사건만 발생했다 하면 “조현병 환자”라는 단어가 법칙처럼 등장하는데, 앞으로도 계속 그럴까요?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대학 병원 약사 출신으로 통계학을 전공한 “글 짓는 약사” 박한슬 작가님의 신간 『숫자 한국』에 그 답이 있습니다. 미세 먼지 지수, 노조 조직률, 합계 출산율 등 우리 사회를 관통하는 20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는 숫자의 힘과 숫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지혜를 말하는 책입니다. 이번 과학+책+수다에서는 이 책이 어떻게 태어났는지, 그..

미세 먼지 지수부터 노조 조직률, 합계 출산율까지 대한민국을 관통하는 20개의 데이터를 통해 숫자 이면의 의미를 추적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에세이 『숫자 한국』. 대한민국의 오늘을 더욱 풍부하고 입체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동시에 우리 사회의 미래를 설계하는 데 필요한 귀중한 통찰을 주는 이 책을 먼저 읽고 경험담을 공유하는 이 연재도 어느덧 마지막을 앞두고 있습니다. 『숫자 한국』 체험 후기를 빛내 주실 마지막 참여자는 금융·경제 전문 뉴미디어 어피티의 CCO, 김정인 선생님입니다. 실생활의 사례를 통해 교과서만으로는 이해되지 않는 경제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전하고 계신 김정인 선생님이 『숫자 한국』에서 발견한 가능성과 힘은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함께 읽어 보시겠습니다. 미세 먼지가 큰 사회적 이슈였던..

최근 한국 사회를 충격에 빠트린 비상 계엄 사태. 그 배경에는 2020년 사전 투표의 평균 득표율이 일정했다는 사실을 근거로 한 부정 선거 음모론이 있었습니다. 같은 숫자를 보고도 다른 해석을 내놓거나 음모론에 빠지는 사람이 늘어나는 요즘, 숫자를 올바르게 읽는 것을 넘어 이런 숫자를 누가 어떤 의도로 만들어 낸 것인지 고민해 보자고 말하는 이가 있습니다. 바로 2022년부터 《중앙일보》에 「박한슬의 숫자 읽기」를 연재 중인 ‘글 짓는 약사’ 박한슬 작가입니다. 그의 연재글을 책으로 옮긴 『숫자 한국』에 이번에는 세계 곳곳의 이슈를 해박한 지식으로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50만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의 운영자께서 추천사를 써 주셨습니다. ’지구본 연구소’의 호기심 대마왕 최준영 박사님께서 읽어..

미세 먼지 지수에서 노조 조직률, 합계 출산율까지 20개의 숫자로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에세이 『숫자 한국』. 대학 병원 약사 출신으로 통계학을 전공했고, 현재는 사회적 글쓰기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는 ‘글 짓는 약사’ 박한슬 작가가 제시하는 이 처방전을 체험해 본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유튜브 채널 ‘언더스탠딩’, ‘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금융·경제 전문 뉴미디어 ‘어피티’ 같은 유력 매체를 이끄는 명사들입니다. 지금부터 3주 동안 진행될 이 연재의 첫 번째 순서로, 지식 콘텐츠 채널 언더스탠딩의 안승찬 대표님께서 『숫자 한국』을 먼저 읽고 깨달은 지혜와 통찰을 독자들에게 전합니다. 숫자는 힘이 있다. 숫자가 가진 구체성 때문이다. 숫자만 잘 확인해도 안개가 걷히듯 ..

오늘의 데이터에서 내일의 대한민국 읽기숫자 한국박한슬 "음모론에 사로잡힌 한국 사회에 투여하는 치료제!"- 최준영(최준영 박사의 지구본 연구소 운영자) 미세 먼지 지수에서 노조 조직률, 합계 출산율까지20개의 '숫자'로 대한민국의 현재와 미래를 새롭게 조망하는데이터 사이언스 에세이! 지금의 대한민국은 숫자를 똑바로 읽고 있는가? 최근 대한민국을 충격과 혼란에 빠트린 비상 계엄 사태. 그 원인으로 지목된 2020년 부정 선거 음모론은 숫자가 단순한 데이터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때로는 사회적 신뢰를 흔들 수 있는 도구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당시 두 정당의 사전 투표 평균 득표율이 서울·인천·경기에서 ‘63대 36’ 비율로 일정했음을 근거로 정부의 조작 가능성을 제기한 이 음모론은, 선거 결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