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ScienceBooks

긴팔원숭이 박사의 밀림 모험기! 『비숲』 출간 기념 저자 김산하 박사 인터뷰 ② 본문

책 이야기

긴팔원숭이 박사의 밀림 모험기! 『비숲』 출간 기념 저자 김산하 박사 인터뷰 ②

Editor! 2015. 5. 15. 10:48




긴팔원숭이 박사의 밀림 모험기!

『비숲』 출간 기념 저자 김산하 박사 인터뷰 ②



편집자: 평소 긴팔원숭이 연구뿐 아니라 환경 운동이나 교육, 생태 예술 같은 다른 다양한 활동들도 하시잖아요. 박사 후 과정도 영국에 있는 대학의 디자인센터에서 밟으셨다고 들었고요. 모르는 사람들이 보기엔 생태학으로 박사 학위를 하고 나서 박사 후 연구를 디자인 쪽으로 했다는 사실이 의아해 보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김산하: 사실 어느 분야에서도 전문가가 아닌 거죠. (웃음) 재미나게도 동료 영장류학자들은 제가 ‘박사 후 과정으로 이런 거를 할 거다.’라고 얘기했을 때 이상하게 생각지 않고 오히려 좋아하더라고요. 그 전부터 비슷한 작업들을 해 오고 있었는데 마침 지금의 아내가 공부하고 있던 영국 쪽 대학과 연이 닿아서 그곳에서 연구를 하게 되었습니다. 


편집자: 예전에 전시도 하셨던 “녹색 과학 프로젝트”와 관련 있는 건가요?


김산하: 그렇죠. 여기서 ‘녹색 과학’이란 생태학을 뜻하고 이 생태학을 예술과 융합해서, 그러니까 디자인으로 가공해서 보다 효과적으로 알리는 작업을 ‘통역(interpretation)’이라 부르자 해서 붙였던 이름입니다.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까 실제로 이 ‘통역’이란 말이 똑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더라고요. 《Journal of Interpretation》이라는 학술지도 나와 있고요. 



편집자: 듣고 보니 생태학이나 환경, 더 나아가서 과학을 강연이나 책을 통해 알리는 작업과 방법상으로 차이가 있을 뿐 전혀 다른 일은 아닌 거네요?


김산하: 전혀 다른 것도 아니지요, 사실. 쉽게 말하면 과학 커뮤니케이션에다 디자인 개념을 부여하는 것이라 말할 수 있겠고요. 


편집자: 굉장히 중요한 작업인데요. 지금 일반적으로 하고 있는 것들, 과학적 연구 내용을 기사나 대중서를 통해 소개하는 행위 자체도 ‘통역’을 해 주는 거잖아요. 점차 기존 매체들이 영향력을 잃어 가는 등 매체 자체는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고, 그런데도 환경이나 생태 쪽 관련 얘기들은 일반인들에게 알려야 하는 중요성은 점점 더 커져 가고 있으니 보다 짧은 시간 안에 강렬하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려면 디자인이라던가 다른 요소들이 고민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김산하: 과학을 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하고 있는 일인데 저는 거기에다 좀 더 설득력 있는 요소를 도입해 보고자 궁리하고 있는 거지요. 이번에 국립 생태원에서 열리고 있는 개미 전시회를 준비할 때에도 참여를 해서 여러 가지 시도들을 해 보았습니다. 동물이나 자연을 감상하는 방법 자체에도 좀 변화를 주고 싶었거든요. 앞으로는 관련한 책도 써 볼 생각이 있습니다. 



편집자: 책에 보면 『정글북』 얘기도 나오지만 어린 시절에 읽었던 자연 관련한 책들 중에서 기억에 남는 책으로 또 뭐가 있을까요? 


김산하: 진 크레이그헤드 조지(Jean Craighead George)라는 미국 작가가 쓴 『Vulpes, the Red Fox』라는 책이 있습니다. ‘Vulpes’는 여우의 학명이죠. 붉은여우의 삶을 그린 얘기인데 짝을 만나서 새끼도 낳고 그러다가 나중엔 결국 사냥꾼에게 죽임을 당하죠. 어렸을 때 이 책을 읽고 얼마나 감동을 받았던지, 언젠가 장마 때 책이 젖어 버려서 엉엉 울었던 기억이 납니다. (웃음) 아마 지금 제가 하고 있는 이런 작업들로 가장 처음 인도한 책이 이 책이 아닌가 싶어요. 너무너무 좋은 책입니다.


편집자: 『비숲』 안에 박사님께서 직접 그리신 여우 그림도 등장하잖아요.


김산하: 실제로 덴마크에 살 때 집 뒤에 있는 정원에 여우가 찾아온 적이 있었죠. 거실을 통해 바라본 창문 밖 정원에 바람이 휙 불며 눈보라가 인 그때, 마법처럼 여우가 서 있던 그 광경은 정말이지 절대 잊을 수 없죠. 



편집자: 인도네시아에서 연구하실 때뿐만이 아니라 어렸을 때부터 늘 그림을 그리셨던 것 같아요. 긴팔원숭이뿐만이 아니라 다른 생태계 동물들, 그리고 현지 연구 보조원들과 함께했던 경험들이 담긴 그림들이 이 책을 더 풍성하고 다채롭게 만들어 주고 있고요.


김산하: 지금도 그림은 그리고 있죠. 아쉬운 건 어릴 땐 정말 순수하게, 아무 목적 없이 그림을 그렸는데 지금은 다 목적이 있다는 겁니다. 글과 함께 어딘가에 싣기 위해 그린다거나. 사실 연애하면서 여자 친구들에게 주기 위해 그렸던 그림들이 제일 아쉽죠. (웃음) 지금 생각해 봐도 명작들이 참 많았는데, 결국엔 이어지지 않은 사람들한테 줘서 지금은 볼 수조차 없으니 말입니다. (웃음) 옛날 여자 친구들에게 일일이 연락해서 그림들을 모은 다음 전시회를 연다는 설정의 영화 시나리오도 생각해 본 적이 있다니까요. 



편집자: (웃음) 다큐멘터리는 어떠세요? 다큐로 만들면 더 재밌을 것 같은데요. (웃음) 그러고 보면 그림을 그리시는 김한민 작가님과 정말 형제가 맞구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물론 형제들도 다 다른 집들이 많지만요.   


김산하: 책에도 썼지만 제게 동물과 그림은 따로 떨어진 둘이 아니라 하나였어요, 어릴 때부터. 제가 속한 서식지이자 생태계였죠. 동물을 좋아하고 탐구하며 늘 동시에 그들을 묘사하고 표현해 왔습니다. 동물을 그림으로 그리게 되면 그냥 보는 것만으로는 넘어가게 되는 부분들까지 깨알같이 짚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머그잔 하나만 하더라도 머그잔을 보며 그림을 그리면 곡선을 일일이 따라가면서 모든 구석구석을 짚어 보게 되죠. 사진은 아무리 자세히 들여다본다고 해도 놓치는 게 많습니다. 

그리고 저는 그림은 정말 ‘해석’이라고 생각합니다. 자기 자신을 투영하고 그리는 대상과 상호 작용이 일어나는 게 그림이지요. 시간이 걸리는, 몰입이 필요한 작업이라는 것도 저는 좋고요. 이미 있는 자연을 풍성하고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도 저는 그림을 높이 삽니다. 베아트리체 포터 같은 사람이 그린 그림들 때문에 영국의 생물상이 더 사랑스럽게 느껴지는 것이거든요. 


편집자: 『비숲』을 읽고 『비숲』에 나오는 박사님 그림들을 보며 많은 독자들이 박사님께서 연구하시는 긴팔원숭이나 지구 생태계에 보다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김산하 박사님 『비숲』 낭독


김산하 박사님 인터뷰 목차

『비숲』 김산하 박사님 인터뷰 예고 [바로가기]

『비숲』 출간 기념 저자 김산하 박사 인터뷰 ① [바로가기]

『비숲』 출간 기념 저자 김산하 박사 인터뷰 ②




김산하

인도네시아 구눙할라문 국립 공원에서 ‘자바긴팔원숭이의 먹이 찾기 전략’을 연구한 긴팔원숭이 박사이자 한국 최초의 야생 영장류학자이다. 인도네시아로 떠나기도 전부터 함께 ‘비숲’을 떠올리고 ‘비숲’을 꿈꾸며 ‘비숲’에서 생활했던 동생 김한민 작가와 자라나는 어린아이들에게 자연 생태계와 환경의 중요성을 알리는 그림 동화 『STOP!』 시리즈를 출간하기도 했다. 김산하 박사는 현재 이화 여자 대학교 에코 과학부 연구원이자 생명 다양성 재단 사무국장을 맡고 있으며,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지역 사회에서 동물과 환경을 위한 보전 운동을 펼쳐 나갈 수 있도록 돕는 제인 구달 연구소의 ‘뿌리와 새싹(Roots & Shoots)’ 프로그램 한국 지부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