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ceBooks
책으로 만나는 쿠르츠게작트, 『면역』 본문
한 달 전, 유튜브에 공개되자마자 조회수 1200만 회를 기록하며 세계에 충격을 준 영상이 있습니다.
전 세계 2000만 명이 구독하고 누적 조회수 20억 회를 기록한
지구 최강의 과학 채널 쿠르츠게작트가 전한 이 메시지는,
인구 변화가 우리 삶의 방식 자체를 위협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더 많은 사람이 이 위기를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촉구하는
단순한 경고를 넘어선 통찰이었습니다.
특히 그 직접적인 사례로 거론된 대한민국에서는
너나 할 것 없이 “이 영상 보셨나요?”라는 말로 시작되는 콘텐츠들이 유튜브를 뒤덮었습니다.
한국이 실패한 이유는 가족, 사랑, 아이에 대한 가치가 조롱받고
출산을 ‘기쁨’이 아닌 ‘리스크’, ‘비용’으로만 취급하는 사회 분위기에 있다고 본
인구 변화는 위기가 아니라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도구'이며
예측 가능한 수치를 활용해 정치, 산업, 교육, 제도를 맞춤 설계하면
한국 사회는 충분히 생존 가능하며 성장 가능성도 있다고 본
단순 인구 규모보다 변화의 속도와 구조(고령화 중심)가 더 큰 문제이며
출산율에 일희일비하기보다
노동 시장·교육·주거 같은 근본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인구 밀도와 구조가 안정된 유럽형 사회로 전환되는 '연착륙'을 위해서는
노년 인구가 계속 일할 수 있도록,
건강한 노화를 위한 '액티브 에이징' 정책이 핵심이라 말한
심지어 이 영상 내용을 두고 AI와 상담을 나누며 한국의 미래를 물은 버튜버까지.....
각자의 자리에서 서로 다른 언어로,
한국이라는 실험실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과제를 진단하는 이 흐름은
우리가 어떤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가를 묻는 거대한 토론의 장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쿠르츠게작트의 이런 독특한 설명 방식, 시각 정보, 데이터 기반의 철저한 분석이
책으로 존재한다면 어떨까요?

바로 쿠르츠게작트 채널의 설립자, 필리프 데트머가 쓴
『면역: 당신의 생명을 지켜 주는 경이로운 작은 우주』입니다.
“한국은 끝났다”는 경고 속에서도, 우리가 돌아봐야 할 또 하나의 세계가 있습니다.
바로 우리 몸속의 우주 — 면역 시스템입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더 이상 면역은 '의사나 과학자의 영역'이 아닙니다.
- “왜 면역은 때때로 나를 공격할까?”
- “백신은 어떻게 작동하는 걸까?”
- “감기와 코로나는 내 몸에서 무슨 싸움을 벌이는 걸까?”
이 모든 질문에 답하면서, 『면역』은 독자에게
이 복잡하고 아름다운 세상을 다시 생각하게 하는 힘을 선사합니다.
쿠르츠게작트 영상처럼
한 번 보면 다시는 그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 지식의 지도를 그려 주는 책,
『면역: 당신의 생명을 지켜 주는 경이로운 작은 우주』를 만나 보세요.
면역
몸에 대한 당신의 생각을 영원히 바꿀 면역계 그림 여행2019년 11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전 세계 누적 확진자가 6억 명을 돌파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sciencebooks.minumsa.com
*함께 읽으면 좋은 책들*
'책 이야기 > 편집자의 책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번역자에게 보내는 질문 코너 (0) | 2023.03.03 |
---|---|
세계 반딧불이의 날: 『반딧불이 통신』 (0) | 2020.07.08 |
『조선의 비행기, 다시 하늘을 날다』 비행 소년의 꿈, 비거를 타고 날다 (0) | 2016.07.07 |
『본성이 답이다』 북디자인 이야기, 일러스트레이터 섭외부터 투표까지! (0) | 2016.06.17 |
『기발한 과학책』 두 저자, “그래요, 우린 게이예요.” (1) | 2016.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