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책 이야기 (717)
ScienceBooks

「물리의 정석」 시리즈의 세번째 책, 『특수 상대성 이론과 고전 장론 편』 출간 기념 특강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스티븐 호킹을 이긴 끈 이론의 창시자 레너드 서스킨드. 그가 현대 물리학 대가의 관점에서 물리학의 전 분야를 통합하고 관통한 2000만 뷰 유튜브 강연 ‘최소한의 이론'을 서적화한 것이 바로 한국에서도 번역 출간되어 누적 판매 2만 부를 돌파한 「물리의 정석」 시리즈입니다. 2022년 4월, 그 세 번째 책인 『특수 상대성 이론과 고전 장론 편』 출간을 맞이해 번역자인 이종필 건국 대학교 교수님께서 2017년, 2018년에 이어 이번에도 특강을 맡아 주셨습니다. 고전 물리학의 가장 위대한 업적인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과 뉴턴, 맥스웰 이론의 기초인 고전 장론을 하나로 잇는 길을 보여 ..

스탠퍼드 천재들이 선택한 진짜 물리 특강, 「물리의 정석」 시리즈. 이번에는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이라고?! 20세기 물리학 최대의 업적이라는 벽 앞에서 좌절하고 포기했던 여러분께, 「물리의 정석」 번역자 이종필 교수님과 함께 특수 상대성 이론 정복을 위한 기초를 다질 기회를 드립니다! 2022년 봄,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의 1000만 뷰 유튜브 명강을 책으로 엮은 레너드 서스킨드의 「물리의 정석」 시리즈 신간 『물리의 정석: 특수 상대성 이론과 고전 장론 편』이 대한민국 독자를 찾아옵니다! 2022년 3월 출간 예정인 이 책에서, 끈 이론의 아버지 레너드 서스킨드는 현대 물리학의 초석인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을 설명하고 특수 상대성 이론의 맥락으로 보았을 때 고전 장론이 어떤 의미를 가지..

메디컬 빅데이터 활용이 활발해진 요즘, 의사들도 통계분석 소프트웨어를 잘 다룰 줄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어떤 소프트웨어를 선택해야 할지, 어떻게 데이터를 다뤄야 할지 헤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의대도서관에서 AI 와 메디컬 빅데이터 전문가이자 『R통계의 정석』의 저자 건양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김종엽 교수님을 모시고 총 세 차례에 걸쳐 의학 분야에서 'R'을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영상으로 함께 보시죠. R통계 게임에 참여하시겠습니까?│통계로 괴로운 의사들 모여라 - R통계의 정석 시리즈 ① 데이터 분석을 염두에 둔 엑셀 파일 만들어보기 R통계 게임 전반전│매력적인 주제를 선정하는 법 - R통계의 정석 시리즈② 주제 선정 어떻게 할 것인가 | 데이터셋 선정은 어떻게 할 것인가 | 질환 정의 ..

조디 포스터 주연의 영화 「콘택트」를 보셨는지요? 그리고 그 영화의 원작 『콘택트』(전2권)를 보셨는지요? '영화 「콘택트」의 아름다운 영상과 시처럼 흐르는 메시지를 칼 세이건의 원작으로 만난다' 칼 세이건 살롱 2021에서 다룬 세 번째 책은 칼 세이건의 SF 소설 『콘택트』였습니다. 1, 2권의 책을 0편부터 3편까지 총 4편의 영상으로 깊이읽기 합니다. 함께 보시죠! 0편 당신이 반드시 봐야 할 역사상 최고의 SF, 「콘택트」 막전막후! 『콘택트』는 칼 세이건의 자신의 과학 지식과 SF적 상상력, 그리고 언제가 이뤄질 외계 생명체와의 대화에 대한 미래 전망을 이 소설 한 편에 응축해 놓았습니다. 칼 세이건 라이브러리의 다이제스트라고 할 만한 책이 이 책입니다. SF 문학사에서도, SF 영화사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 초반 다이나모 작전을 다룬 영화 「덩케르크」에서 실제 전투기 스피트 파이어를 영화 속에 등장시킨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이 이번에는 제2차 세계 대전을 끝낸 원자 폭탄과 관련된 영화를 준비 중이라는 소식입니다. 크리스토퍼 놀란, 차기작? ‘원자폭탄의 아버지’ 로버트 오펜하이머 이야기 Christopher Nolan Bombshell: Director Talking To Multiple Studios On Film He’ll Direct About J. Robert Oppenheimer & Development Of The A-Bomb In WWII Christopher Nolan Bombshell: Director Talking To Multiple Studios On Film He’ll ..

9월 7일 ‘푸른 하늘의 날’은 올해 2회를 맞이하는 ‘푸른 하늘을 위한 세계 청정 대기의 날(International Day of Clean Air for Blue Skies)’입니다. 급속한 기후 변화의 시대 맑은 공기를 위한 노력을 촉구하는 날입니다. 맑고 푸른 하늘이 더욱 반가운 요즘, 하늘을 올려다보며 무슨 생각을 하시나요? 푸른 하늘은 인류의 영감과 호기심의 원천이어서,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하늘에 떠 있는 작고 혼탁한 물체들이 파란색을 만들어 낸다고 했고 뉴턴은 빛의 반사와 굴절을 이용해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푸른 하늘의 원인이 빛의 산란이라는 사실은 19세기 말에서야 밝혀집니다. 레일리는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이 파장이 긴 붉은색 빛에 비해 강하게 산란된다는 것을 보였습니다. 태양광 성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