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633)
ScienceBooks
273호에 실렸던 의 담당 편집자의 글입니다. 벌써 5년 전, 엔화 환율이 950원이 채 되지 않던 때의 일이다. 나는 APCTP(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선발한 여학생들과 함께 ‘세계의 여성 과학자를 만나다’ 인터뷰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도쿄에 첫 발을 내디딘 참이었다. 신입 편집자의 첫 출장, 태풍이 몰려오기 직전의 무더운 도쿄 거리를 헤매던 사흘 동안 나는 디저트의 천국이라는 도쿄에서 다이어트에 성공할 수 있었다. 그렇게 도쿄, 뉴욕, 워싱턴, 시카고, 그리고 서울과 천안, 포항을 오가며 이루어진 여성 과학자 인터뷰를 담은 책 『과학해서 행복한 사람들』에서 나와 APCTP의 인연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APCTP 기획 도서 전담이라는 내 임무는 어느덧 『과학이 나를 부른다』에..
백두산 화산재 밑에 묻힌 발해 멸망의 미스터리를 찾는다! 일본 홋카이도에서 중국 동북부까지 백두산 화산재에 얽힌 비밀 유사 이래 최대의 화산 분화, 10세기 백두산 대분화의 수수께끼를 밝힌다! 인공위성 화면을 통해 백두산 주변의 지형을 보고 있노라면 큰 강의 평야부는 온통 화산 이류 퇴적물에 덮여 있는 것처럼 보였다. 저 속에 발해 5경의 서경이 있을지도 모른다! 사진을 뚫어지게 바라보며 그렇게 혼자 흥분한 적도 있었다. 그 토지 위에 마치 비가 온 뒤 솟아나는 버섯처럼 새로운 도시가 형성되고 사람들은 아무것도 모른 채 생활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낯선 곳의 노두에서 눈에 익은 이 화산회와 만나면 세상을 다 얻은 것처럼 우쭐한 기분이 들었다. 그럴 때면 잠시 작업을 멈추고 멀리 백두산이 위치한 하늘을 바라..
이번 포스트는 저자 강연회의 Q&A 시간 중 '트위터'를 통해서 받은 질문들과 그 답변들을 담은 팟캐스트입니다. 팟캐스트의 경우, 녹음상태가 좋지 못해 듣기 불편하실 수 있는데,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 팟캐스트 주소 : http://nemo.podics.com/127648360503 이권우 선생님 : 이제 트위터에 올라왔던 질문을 두 세 개 정도 살펴보겠습니다. 트위터 질문 1 : 새 기술에 기반한, 정치 주체로서의 젊은 층이 주도할 만한 새로운 흐름을 점쳐 본다면? 박성민 선생님 : 젊은 층 정치를 주도했을 때가 60년대의 4.19세대, 6.3세대 등입니다. 이후 80년대 데모를 주도했던 젊은 세대를 보면 도덕적 우월감, 지적 우월감이 있었습니다. 이제 달라진 점이 있다면 디지털 혁명에 의해 개인..
이번 포스트는 저자 강연회 발표를 마치고 가진 Q&A 시간의 녹취록과 팟캐스트입니다. 이번 편은 녹음 문제로 참석자분들의 질문 중 2건은 녹음되어 있지 않고 저자분들의 답변만 있습니다. 팟캐스트의 경우, 녹음 상태가 좋지 못해 듣기 불편하실 수 있는데,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 팟캐스트 주소 : http://nemo.podics.com/127648360503 이권우 선생님: 이제 이 자리에 참석하신 분들로부터 질문을 받겠습니다. 참석자 질문 1: 박성민 선생님에게 질문이 있습니다. 디지털 혁명과 정치인들의 지지율이 떨어지는 현상에 대해 말씀하셨는데요. 하지만 노무현이나 오바마가 대통령이 되기까지는 디지털 혁명이 큰 역할을 한 것이 사실인데, 그런 현상에 대해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박성민 선생님..
이번 포스트는 저자 강연회 세번째 발표자이신 강양구 기자님의 발표 녹취록과 팟캐스트입니다. 팟캐스트의 경우, 녹음상태가 좋지 못해 듣기 불편하실 수 있는데,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 팟캐스트 주소 : http://nemo.podics.com/127648360503 이권우 선생님 (사회): 좋은 말씀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제 강양구 기자님 차례인데요, 강양구 기자님은 불확실성뿐만이 아니라 여기에 대한 대안까지도 제시하셨습니다. 잘 들어보시고 믿을만한 대안인지 생각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강양구 기자님: 네, 반갑습니다. 강양구라고 합니다. 제가 이 책을 기획하기도 했지만, 사실 이 자리에 다른 훌륭한 선생님들께서 오셨다면 더 좋았을 텐데 아쉽네요. 책 홍보를 조금 하자면 아까 김명진 선생님께서..
이번 포스트는 저자 강연회 두번째 발표자이신 김명진 선생님의 발표 녹취록과 팟캐스트입니다. 팟캐스트의 경우, 녹음상태가 좋지 못해 듣기 불편하실 수 있는데,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 팟캐스트 주소 : http://nemo.podics.com/127648360503 이권우 선생님(사회): 네, 역시 정치가 주제가 되다 보니 밤을 새야 할 것 같습니다. 그 다음, 김명진 선생님은 PT 자료를 준비하셨나 봅니다. 김명진 선생님 : 네, 제가 맡은 내용은 훨씬 재미가 없는 과학 이야기입니다. 물론 최근 우리가 겪고 있는 일 중에 과학과 관련된 일들이 많지만, 다른 분들이 준비한 내용은 특정 사례, 예컨대 지구 온난화나 광우병과 관련된 얘기라면 저는 약간 이론과 관련된 이야기를 할까 합니다. 과학이 실험실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