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학 Talk (40)
ScienceBooks
Talk. 동물실험은 어디까지? '살아 있는 화석' 투구게의 수난시대 채혈 중인 투구게 ⓒ http://m.media.daum.net/m/media/world/newsview/20160104161028528 위의 사진은 투구게로부터 채혈하고 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입니다. 병 안에 든 게 투구게의 혈액인데 색이 조금 생소하죠? 투구게의 혈액 속에는 구리를 기반으로하는 헤모시아닌이 들어가 있어서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피가 푸른 색으로 보입니다.투구게의 혈액은 백신이나 의약품 개발 실험 중 반드시 필요한 재료로, 매년 50만 마리의 투구게들이 제약회사에서 피를 뺏기고 있습니다. 투구게의 30%의 혈액만 채혈하고 채혈 한 뒤에는 다시 바다로 돌려보내지지만 10%의 투구게는 채혈과정 중에 죽게 된다고 합니다.무분..
Talk. 베토벤 탄생 기념, 베토벤의 병명은 무엇이었을까? 12월 17일은 베토벤이 탄생한 날입니다. 음악가인 베토벤이 과학과 무슨 상관이냐고 묻는 분들도 계시겠으나, 엄연히 베토벤에 대한 이야기도 사이언스북스 책에서 다룬 적이 있습니다! 베토벤이라고 하면 천재 음악가, 청각 장애를 가진 음악가 그리고 미간의 주름으로 항상 인상을 찡그린 표정 등이 떠오릅니다. 그런데 베토벤의 얼굴을 상찾아보면 왜 인상을 찡그린 표정이 대부분일까요? 『뇌과학 여행자』에서는 베토벤이 인상을 쓰고 있는 이유를 그의 일생에서 찾아봅니다. 베토벤의 할아버지는 존경 받는 음악가였지만 정작 아버지는 실패한 음악가이며 알코올 중독자였습니다. 아버지는 베토벤이 신동 음악가이길 바랐지만 베토벤은 신동이 아니었으며 그로 인해 아버지로부터..
Talk. 영화 「대호」를 100배 더 재미있게 즐기는 방법! (사)한국범보전기금의 초청으로 최민식 주연의 영화 「대호」 시사회에 다녀왔습니다. 「대호」는 지리산의 산군으로 두려움과 존경의 대상인 전설적인 호랑이 ‘대호’와 조선 최고의 명포수 천만덕의 운명을 감동적으로 그린 작품입니다. 영화 「신세계」의 박훈정 감독과 연기파 배우 최민식의 만남만으로도 개봉 전부터 화제가 되고 있지요. 영화의 배경은 1917년, 일제 강점기 하 ‘해수 구제(害獸驅除) 정책’이라는 이름으로 이 땅에서 이미 많은 호랑이들이 사라져 가고 있는 상황에서 지리산에 살고 있는 ‘대호’를 잡으려 쫓고 쫓기는 상황을 긴박감 넘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영화에서는 ‘대호’를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로 설정하고 있는데요, 실제로는 1921년 경..
Talk. 『종의 기원』 출간 156주년 기념!찰스 다윈의 진화론을 알아보다 ⓒ wikimedia 오늘로부터 156년 전인 1859년 11월 24일은 과학사에 큰 획을 그은 날입니다. 바로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이 출간된 날입니다. 이를 기념해서 오늘은 최재천 교수님의 『다윈 지능』을 읽어보며 다윈의 『종의 기원』이 처음 출간되었을 때의 상황과 다윈이 주장하는 진화론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는 시간을 준비하였습니다. ※ 기사 제목을 클릭 하면 전문을 읽을 수 있습니다.15.11.24 JTBC [오늘] 11월 24일…다윈 '종의 기원' 출간 (1859) 『종의 기원』은 1859년 11월 24일 영국 런던의 존 머리에 출판사에 의해 처음으로 출간되었다. 판매용으로 찍은 1,170권의 초판은 꺼내놓기가 무섭게..
Talk. 조지 불 200주년 기념디지털 시대의 기반을 세운 '불 대수학'11월 2일 구글 메인화면 ⓒgoogle 11월 2일, 오늘은 수학자 조지 불이 탄생한 날입니다. 무엇보다 오늘은 조지 불이 탄생한 지 200주년을 맞이하는 날이기에 더욱 뜻 깊습니다. 조지 불은 1815년 11월 2일에 영국에서 탄생한 수학자로 가장 중요한 업적으로는 1854년에 발표한 『논리와 확률의 수학 이론에 기반한 사고 법칙 연구』입니다. 불은 논리를 그저 0과 1 두수, '그리고(and)'와 '또는(or)'과 '~이 아닌(not)'이라는 세 가지 기본 작용에 관련된 단순한 대수학으로 압축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 클리퍼드 픽오버, 『수학의 파노라마』, 224쪽. 이 '불 대수학(Boolean Algebra)'은 전화 교환..
Talk. 2015년 10월 21일, 미래에 도착한「백 투 더 퓨처」타임머신 들로리안 DMC-12를 전격 분석해보자! 2015년 10월 21일. 오늘은 80년대 중후반을 강타한 SF 영화 「백 투 더 퓨처」에서 언급한 '미래'입니다. 「백 투 더 퓨처」는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 현재, 미래를 오가는 SF를 기반으로 한 영화인데요. 극 중에서 미래로 나오는 시기가 2015년 10월 21일 입니다. 이를 기념하여 「백 투 더 퓨처」가 첫개봉한 80년대 중부반에 상상한 2015년과 현재를 비교하는 글들도 벌써 인터넷 기사로도 많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빽 투 더 퓨쳐 (2015) Back to the Future 9.5감독로버트 저메키스출연마이클 J.폭스, 크리스토퍼 로이드, 리 톰슨, 크리스핀 글로버, 토마스..
Talk. 공감 지수 테스트사이코패스들은 옆에서 하품을 해도 절대 따라 하지 않는다? ⓒ Evan Blaser ⓒ Margherita J. L. Lisoni 사이코패스들은 옆에서 누가 하품을 해도 따라서 하품을 하지 않는다? 흔히 공감 능력이라 일컫는 감정 이입(empathy) 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전염성 하품에 동참하지 않더란 연구 내용이 최근 해외 언론에서 화제가 되었습니다.‣ 관련 기사 [바로가기] 세미나실이나 회의실 같은 밀폐된 공간에 여러 사람이 모여 앉아 있을 때 그중 누군가 하품을 하게 되면 마치 도미노처럼 그곳에 있는 사람들이 연이어 하품을 하는 현상, 아마 누구나 경험한 적이 있을 텐데요. 이렇게 하품이 번지는 현상을 ‘전염성 하품’이라고 합니다. 이 전염성 하품은 우리 인간뿐만 아니라 ..
“세상에 마지막 남은 나그네비둘기였던 마르타, 그리고 마지막 미스왈드론붉은콜로부스와 마지막 양쯔강돌고래의 기억에 이 책을 바친다. 부디 그들의 쓸쓸한 뒷모습이 우리의 길잡이가 되어 그와 같은 운명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는 노력에 더욱 힘을 실어 주기를.”―제인 구달, 『희망의 자연』 중에서. Talk. 사자 '세실'의 죽음인간과 자연의 공존을 다시 생각하다 ‘침팬지들의 대모’이자 세계적인 환경 운동가인 제인 구달 박사는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1년에 300일가량을 지구 곳곳을 누비며 인간에 의해 파괴되고 있는 자연 환경과 동물들의 실상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그녀가 최근 아프리카 짐바브웨의 한 국립 공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았던 사자 ‘세실’의 슬픈 죽음을 애도하는 글을 제인 ..
Talk. 미래로 띄운 편지뉴호라이즌스 호, 인류 최초 명왕성 탐사↑ 7월 14일 구글 메인 페이지 오늘 PC로 구글에 접속하신 분들은 구글메인이 남다른 것을 보고 오늘이 무슨 날인가.. 의문을 가지셨을 거 같습니다. 바로 오늘은 뉴호라이즌스 호가 9년 6개월의 여정 끝에 명왕성에 근접하는 날입니다. 2006년 1월에 보내진 뉴호라이즌스 호는 무려 48억km이며 간 우주를 비행하며 우리나라 시간으로 오늘, 14일 오후 8시 47분 경에 명왕성 12,500km까지 근접하여 명왕성을 탐사하게 됩니다. 뉴호라이즌스 호에 명왕성을 최초로 발견한 클라이드 톰보의 유해를 담아 보냈기 때문에 이 프로젝트는 최초 발견자와 명왕성의 조우라는 더욱 뜻 깊은 감동도 느낄 수 있습니다. 비록 지금은 명왕성이 태양계 행성에서 ..
Talk. 인조잔디… 내 안에 납 있다.암을 유발시키는 인조잔디의 진실 최근 충격적인 뉴스 기사를 하나 봤습니다. 바로 학생들이 다니는 학교에서 주로 볼 수 있는, 그리고 봄철 곳곳의 공원에서 쉽게 밟고 다니는 '인조잔디'에 관란 기사였는데요. 이 인조잔디에 기준치를 초과하는 납이 검출되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인조잔디 운동장에 납·발암불질…리스트 입수※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정부에서 학생들의 체육 환경 개선을 위하여 추진한 인조잔디 운동장이 학생들에게 치명적인 독이 되고 있다니 아이러니한 상황입니다. 이번 JTBC에서는 인조잔디에서 기준치 수백 배 이상의 납과 발암물질이 검출된 학교 리스트를 공개하여 많은 학부모들에게 충격을 안겨줬을 거 같습니다. 그런데, 납이 왜 위험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