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사이언스북스의 책 (316)
ScienceBooks

대백과사전해양DK 『해양』 편집 위원회 | 이경아 옮김 ★ 360컷의 최신 해양 사진, 100컷의 인포그래픽, 40장의 명화★ 영국 자연사 박물관과 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으로 떠나는 해양 탐험★ 해양 생물 사진과 세밀화 300컷 포함 『해양 도감』 증정바닷물의 산성화, 오염, 어류 남획은 전반적인 해양 생태계를 위협한다. 해양 세계가 품은 경이로움에 푹 빠져 이를 아끼고 보호하는 법을 터득하는 일이 오늘날보다 중요했던 적은 일찍이 없었다. 자, 이제 낯선 것들 속으로 뛰어들어 유영하면서 우리의 해양을 지키는 데 힘을 보태자.―크리스 패컴(박물학자, 방송인, 작가 겸 사진 작가) 바다를 탐구하는 다양한 행사들이 열리고 있다. 해양 생물 수중 사진 공모전(7월 17일~9월 10일)을 개최한 최완현 국립해..

반려견을 위한 과학 그리고 그 이상 개의 작동 원리 대니얼 타타스키 | 데이비드 험프리스 그림 | 김다히 옮김 개들은 왜? 코에서 꼬리 끝까지 당신의 반려견을 위한 과학 “개처럼 살라.” 루니와 같이 산 덕에 그 말뜻을 깨닫게 된 것 같다. 한마디로 현재에 충실하라는 뜻이다. 루니는 매 순간 지금 하는 일을 사랑한다. 루니에게는 모든 것이 새로웠고 나도 루니의 눈을 통해 세상을 보기 시작했다. ―본문에서 우리나라 반려동물 인구가 1500만 명을 넘어선다고 하는 이 시대에, 단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반려견일 것이다. 애견인은 물론이고 개에 관심이 없거나 거부감이 있는 사람도 다양한 매체에서 쏟아지는 개와 함께 살아가는 법에 대한 광고와 지침을 피하기란 쉽지 않다. 그중에서도 가장 핵심을 간추려서..

디지털과 실제 세계의 융합을 설계하는 미래 공학도의 필수 교양 사이버 물리 공간의 시대 최준균, 박효주, 고혜수, 최형우|KAIST PRESS 기획 사이버 물리 공간(CPS)의 현재와 미래를 한 권에 응축한 카이스트 명강 PLUS 두 번째 책! 어느새 우리 앞에 다가온 거부할 수 없는 흐름, 사이버 물리 공간이란 무엇인가? 한번 상상해 보자. 집에 돌아온 순간 스마트 워치가 내 체온과 몸 상태에 맞게 실내 온도를 조정하고, 확장 현실(XR) 헤드셋을 쓰니 오늘 검색했던 내용이나 시청했던 영상과 연관된 콘텐츠를 자동으로 추천해 준다. ‘BTS 콘서트’를 선택하자 선호하는 멤버를 가장 잘 즐길 수 있는 시간과 시점으로 재생되고, 직접 공연장에 간 것보다 생생한 경험을 한다. 이러는 동안에도 집에서는 실시간으..

SF 작가의 수학 생각 누가 수학 좀 대신 해줬으면! 고호관 대한민국 모든 ‘수포자’를 대신한 외침! ★이광연 한서 대학교 교수(『피타고라스 생각 수업』 저자) 강력 추천★ 수학 대중화를 대신 해 주는 고호관 작가가 너무나도 고맙다. -이광연(한서대 교수) 수학 콘텐츠에 관한 숱한 고민과 시도에서 나온 수학 에세이 -조가현(《수학동아》 편집장) 한국에서 유일한 수학 잡지 《수학동아》 편집장을 지낸 뒤 지금은 SF 작가이자 번역가로도 활약하고 있는 고호관 작가. 그는 수학자도 아니고 수학을 전공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수학 기자로 일을 하며 수많은 수학자와 ‘수학 덕후’들을 취재하고 기사를 썼다. 덕분에 대중들에게 수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데 도가 텄다. 역사, 문화, 정치, 경제, 환경 등 온갖 분야에..

로버트 오펜하이머 평전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카이 버드, 마틴 셔윈 | 최형섭 옮김 ★ 2005년 전미 도서 비평가 협회상 수상 ★ 2006년 퓰리처 상 수상 ★ 2010년 APCTP 올해의 과학 도서 ★ 2011년 한국과학창의재단 우수 과학 도서 ★ 2023년 개봉작 「오펜하이머」 원작 「테넷」, 「덩케르크」, 「인터스텔라」, 「메멘토」……. 스크린 너머로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작품들을 선보여 온 거장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의 최신작 「오펜하이머(Oppenheimer)」가 올여름 개봉 예정이다. 북미 개봉(2023년 7월 21일)을 앞두고 6월 1일 공개된 비하인드더신 영상에서 그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큰 이야기”라고 표현한 「오펜하이머」는 1억 달러라는 제작비나 주연 킬리언 머피, 조연 「아이언 맨..

과학적이고 정치적인 유전학 연대기 웃음이 닮았다 칼 짐머 | 이민아 옮김 전미 과학 작가 협회 과학 사회 저널리즘 상 수상작 우생학, 인종주의, 성차별로 얼룩진 유전학의 빛과 그림자 유전에 대한 모든 이야기가 경이롭다. — 찰스 다윈 우리가 개발한 것은 생명의 암호를 수정하는 도구였다. — 제니퍼 앤 다우드나 과학 저널리스트 칼 짐머는 첫 딸의 탄생을 기다리면서 유전 질환의 가능성을 알게 되자 노심초사한다. 예일 대학교 분자 생물 물리학 및 생화학 겸임 교수인 짐머는 《디스커버》에서 과학 저널리스트로 출발해 과학 저술가로서 최고 영예인 내셔널 아카데미 과학 커뮤니케이션 상을 비롯해 수많은 상을 받았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사태 심층 보도로 퓰리처 상 공공 서비스 부문을 수상한 《뉴욕 타임스》 탐사 보도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