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책 (66)
ScienceBooks
Dark Matter and the Dinosaurs암흑 물질과 공룡 │ 리사 랜들 │ 김명남 옮김우주를 지배하는 제5의 힘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킨 것은 암흑 물질이었다! 노벨 물리학상에 가장 근접한 여성 물리학자‘물리학의 여신’ 리사 랜들이 제안하는 우주론과 생명 과학의 새로운 융합! 영화 「인터스텔라」의 자문 과학자 킵 손 추천전 세계 과학계를 진감시킨 최신 연구의 긴급 단행본화! “현대 과학의 폭넓은 영역들에 대해서,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놀라운 상호 연결성에 대해서 야심 차고 명료한 서술을 시도한 책. 과학 글쓰기의 걸작이다. 과학 연구의 속성을 조명하는 한편, 우주를 메운 암흑 물질의 뜻밖의 성질이 우리 자신의 존재와 연결되어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을 설명한 탐정 이야기이다. 대단히..
과학 Talk. 영화 와 과학 속 예술 작품 저번주에 영화 가 개봉했습니다. 이 영화는 2차 세계대전 때 루브르 박물관의 예술품을 지키기 위한 두 남자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루브르 박물관에 얽힌 역사와 숨겨진 이야기, 루브르에서 소장 중인 작품들이 과거와 현실을 넘나들며 재현된 영화로 제72회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최우수 유럽 영화상을 수상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영화의 배경이 루브르 박물관인만큼 에서는 다양한 작품들이 등장하는데요. 영화 속에서 등장하는 작품들 중에 사이언스북스의 과학책에서도 소개된 작품들도 있습니다. 과학책에서는 예술 작품들이 나오다니, 다소 낯선 느낌이죠? 이 작품들이 과학책에서는 어떻게 소개되고 과학과는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요? 『뇌과학 여행자』(위), 『프랑코포니아 뮤지엄북』(아래)..
『수학의 확실성』 옮긴이 후기 20세기 수학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을 말하라고 하면 단연 수학 기초론의 출현을 꼽을 수 있다. 수학 기초론 연구자들이 등장하면서 수학의 연역적 측면뿐만 아니라 수학의 본질도 문제로 삼기 시작했다. 기초론 문제가 화두로 등장하게 된 직접적 계기는 집합론에서 발견된 역설 때문이었다.역설의 발견은 수학자들에게는 큰 충격이었다. 19세기 후반부터 일부 수학자들이 수학과 논리학의 관게에 주목하면서 수학의 기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한편에서는 논리학 위에 수학을 건설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다른 한편에서는 논리학 원리를 수학에 적용하는 데에 회의적 시각을 보내는 이들이 있었다. 수학의 기초를 둘러싼 19세기 말의 논란은 큰 주목을 끌지 못했으나 20세기 초에 역설..
일러스트레이터+편집자+디자이너 한 팀이 만든『본성이 답이다』 북디자인 이야기 『본성이 답이다』 이 책은 절대 저 혼자 디자인했다고 할 수가 없어요.편집자와 일러스트레이터, 디자이너 세 명이 마치 한 팀처럼 함께 디자인했습니다.담당 편집자만큼 책을 잘 알고 있는 사람도 드물기에 (과학이라는 전문분야의 책은 더더욱요!) 이 책이 가져야 할 모양새에 대해 편집자에게 의견을 많이 물었습니다. 사회문제를 진화 심리학의 측면에서 분석하기도 하지만, 쉽게 읽히는 것이 장점인 책이었어요. “부담 없이 진화 심리학에 다가갈 수 있는 모습이었으면 좋겠다.”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제일 처음으로 제가 한 일은 본문 그림을 그려 줄 일러스트레이터 섭외였어요.여러 일러스트레이터의 작업들을 살펴보다가 생소한 이름의 일러스트레이터..
『조선의 비행기, 다시 하늘을 날다』는 오랜 시간 고문서 속에서만 존재했던 조선의 비행기, '비거'를 우리의 역사와 기술을 쫓으며 다시 끄집어내는 작업이 담긴 책입니다. 젊은 항공 과학자 이봉섭 선생님을 통해서 조선시대 과학 기술과 현대 항공과학이 만나서 다시 한 번 역사 속의 비거를 하늘로 띄우는 과정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전통 과학 기술과 첨단 항공 공학의 성과가 융합된 책으로 과학의 경이로움을 느낄 수 있어서 언론에서 조명을 받았습니다. 아래에 관련 기사 링크들을 정리하였으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6월 1일 (수)문화일보“배 모양의 동체에 돛 모양의 날개… 이것이 飛車의 과학”6월 2일 (목)한국일보임진왜란 기록 속 비행기, 만들어 ..
《과학동아》 6월호 '이달의 책'으로 선정 5월 28일자, 《시사인》에서 소개하는 『판다의 엄지』 오랜 시간 과학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스티븐 제이 굴드의 『판다의 엄지』가 수 년의 시간이 흘러 사이언스북스에서 개정판으로 출간되어 과학 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받고 있습니다. 과학 고전으로 널리 읽힌 과학서의 새 단장한 모습에 언론사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였는데요. 『판다의 엄지』를 소개한 언론사들의 링크를 정리하였으니 함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 제목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을 볼 수 있습니다.5월 23일 (월) SBS 쉽고 재미있는 미술사…신간 '난처한 미술이야기' 5월 19일 (목) 헤럴드경제 [리더스카페]판다의 엄지는 어떻게 생겨났나 5월 20일 (금) 국민일보 [300자 읽기] 판다의 엄지 5월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