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633)
ScienceBooks

"인간이 나무를 심고, 나무가 인간을 구원한다." 《타임》, 《워싱턴 포스트》 선정 올해 최고의 책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 출간을 기념하여 표지 일러스트를 활용한 월페이퍼를 제작했습니다. PC, 모바일, 태블릿 PC까지 다양한 사이즈로 준비하였으니, 원하는 이미지를 다운받아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영화 「아바타」 영혼의 나무에 영감을 준 진균 네트워크의 발견자가 제안하는 공존의 삶과 과학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 도서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 아래 이미지를 클릭(터치)하면 원본 이미지 확인 및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 도서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은 이곳을 (클릭)해 주세요. ▲ 『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 』 월페이퍼 PC 버전 1920*1080 ▲ 『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

숲속의 우드 와이드 웹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 수잔 시마드 | 김다히 옮김 “인간이 나무를 심고, 나무가 인간을 구원한다.” 영화 「아바타」 영혼의 나무에 영감을 준 진균 네트워크의 발견자가 제안하는 공존의 삶과 과학 내 책으로 말미암아 한국의 독자들도 어머니 나무들을 발견하고 돌보고 싶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 여러분도 어머니 나무를 찾는 모험에 동참하면 좋겠다. 숲에서 가장 큰 나무를 찾았다면 그 나무가 바로 어머니 나무이다. 어머니 나무는 숲을 기른다. 어머니 나무는 숲을 되살아나게 한다. 이 책을 실마리 삼아 숲속을 나아가다 여러분의 어머니 나무를 만나게 되기를 바란다. ―본문에서 최근 산림청에서 추진하는 숲 가꾸기 사업이 화제다. 최근 몇 년간 지방 국도를 다니다 보면 대량 벌채된 숲을 쉽게 만날..

1934년 11월 9일은 칼 세이건의 탄생일입니다. 우크라이나에서 건너온 유태인 소시민 가정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 새뮤얼 세이건은 현재 전화에 휩싸인 우크라이나에서 다섯 살 때 미국으로 건너왔고, 어머니 레이철 몰리 그루버는 아버지 때 우크라이나에서 건너온 집안 출신이었습니다. 이렇게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난 세이건은 어떻게 위대한 천문학자가 되었을까요? 그 비밀을 세이건은 자신의 책 곳곳에 숨겨 두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첫 번째 과학 스승으로 무학(無學)의 부모님을 꼽습니다. 칼 세이건의 탄생일을 기념해서 그 이야기를 잠시 함께 읽어 보면 어떨까요. 책을 시작하며: 나의 스승들 1939년 바람이 무섭게 부는 가을 저녁이었다. 나는 아파트 창문으로 거리를 보고 있었다. 낙엽이 거리를 굴러가고 있었다. ..

민음사 출판 그룹의 과학 전문 출판사 ㈜사이언스북스에서 편집자를 모십니다. ▶사이언스북스 소개 1997년 창립된 (주)사이언스북스는 민음사 출판 그룹의 과학 전문 출판 자회사로 과학의 대중화, 대중의 과학화를 목표로 합니다. 『다윈 지능』,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론 강의』, 『인류의 기원』 등 국내 과학 필자의 글을 발굴하고 『코스모스』,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 『종의 기원』 등 국외 우수 과학서를 소개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DK 대백과사전 시리즈와 『카이스트 명강』, 만화 『빅뱅 스쿨』 등을 통해 청소년에게 흥미로운 과학의 세계를 펼쳐 보이고자 합니다. (주)사이언스북스 출간 도서들: 『개미제국의 발견』, 『면역』, 『다윈 지능』, 『오래된 연장통』, 『모든 사람을 위한 빅뱅 우주..

2023년 8월은 크리스토퍼 놀란의 영화 「오펜하이머」로 뜨거웠습니다. 8월 30일 현재 250만 가까이의 관객이 3시간짜리 영화를 보기 위해 극장을 찾았고, N차 관람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주)사이언스북스에서도 이 바람에 동참하고자 CGV 명동역 씨네라이브러리에서 영화를 함께 보고, 과학학 전문가인 옮긴이와 원작을 함께 읽는 “「오펜하이머」 함께 보기, 『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다시 읽기” 행사를 마련했습니다. 한국어판의 번역자 최형섭 서울과기대 교수님, 과학 큐레이터 강양구 TBS 기자님과 함께 과학과 역사, 정치와 윤리를 아우르는 오펜하이머의 서사를 영화 안팎으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행사 시작에 앞서 최형섭 교수님께서는 영화와 책을 생생하게 비교하는 글을 보내오셨습니다. 영화를 아직 안 보..

대백과사전 해양 DK 『해양』 편집 위원회 | 이경아 옮김 ★ 360컷의 최신 해양 사진, 100컷의 인포그래픽, 40장의 명화 ★ 영국 자연사 박물관과 미국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으로 떠나는 해양 탐험 ★ 해양 생물 사진과 세밀화 300컷 포함 『해양 도감』 증정 바닷물의 산성화, 오염, 어류 남획은 전반적인 해양 생태계를 위협한다. 해양 세계가 품은 경이로움에 푹 빠져 이를 아끼고 보호하는 법을 터득하는 일이 오늘날보다 중요했던 적은 일찍이 없었다. 자, 이제 낯선 것들 속으로 뛰어들어 유영하면서 우리의 해양을 지키는 데 힘을 보태자.―크리스 패컴(박물학자, 방송인, 작가 겸 사진 작가) 바다를 탐구하는 다양한 행사들이 열리고 있다. 해양 생물 수중 사진 공모전(7월 17일~9월 10일)을 개최한 최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