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책 이야기/사이언스 스케치 (60)
ScienceBooks

SETI 프로젝트는 2020년, 60주년을 맞습니다. 폴 데이비스(Paul Davies) 미국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교수의 『침묵하는 우주(The Eerie Silence)』는 환갑을 맞은 SETI 프로젝트의 어제와 오늘, 내일을 살핍니다. SETI 프로젝트의 과학적 방법론과 목적에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과연 우리 우주에서 인류가 유일한 존재인지, 우주의 섬뜩한 침묵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생명과 지성의 본질은 무엇인지 등을 근본적으로 탐구합니다. ‘우주에 우리만 있는가?’라는 질문에 인류는 어떤 답을 할 수 있는 수준에 도달했을까요. 프리랜서 라이터 신연선 작가의 『침묵하는 우주』 출간 기념 북토크 취재 기사를 통해 확인해 보시죠. 섬뜩한 침묵을 깨는 지구인의 속삭임: 『침묵하는 우주』출간 기념 ..
2019년 1월 18일부터 3월 7일까지 총 6회에 걸친 이 끝이 났습니다. 역사책방과 과학책방 갈다에서 번갈아 가며 진행한 강연으로 사이언스북스에서 출간된 DK 대백과사전 책을 중심으로 명사들의 강연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강연은 위와 같이 진행되었습니다. 과학만이 아니라 역사, 경제, 동물, 무기 등 다방면의 주제로 강의를 들으며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알찬 시간이었습니다. 간단하게 각 강연 현장을 사진과 함께 살펴봅니다. 1강 : 빅 히스토리를 읽다강연자 : 윤신영(동아사이언스 기자) 첫 번째 강연은 『인류의 기원』 공저자이신 윤신영 기자님의 '빅 히스토리를 읽다'로 시작되었습니다. 『빅 히스토리』 책을 중심으로 인류의 진화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며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강연 보기 ▼ 관련 도서 ▶..
매월 마지막 금요일에 한국물리학회 물리대중화특별위원회에서 주관하고 (주)사이언스북스에서 후원하는 강연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5월부터 시작한 대중 물리학 강연으로 벌써 12월 마지막 강연을 앞두고 있습니다. 매번 강연 때마다 강의실을 가득 채울 정도로 많은 분들이 참여해 주셨는데요. 여태까지 어떤 강연자와 무엇을 주제로 강연을 했는지 가볍게 살펴볼까요? 5월 강연강연자 : 정재승(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강연주제 : 물리학으로 어떻게 사회를 이해하는가? 6월 강연강연자 : 김상욱(경희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강연주제 : 양자 역학(量子力學)의 양자 택일(兩者擇一) 7월 강연강연자 : 김범준(성균관 대학교 물리학과 교수)강연주제 : 세상 물정의 물리학 8월 강연강연자 : 이종필(건국 대학교 상허교양대학..
얼마 전 서울 공항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관람 소식을 전해드렸습니다. 항공기 31종 47대, 지상장비 21종 22대, 관람객 28만 2373명이 방문하는 등 정말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여 주셨습니다. 그렇다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일반 항공(General Aviation) 에어쇼는 무엇일까요? 바로 미국 오쉬코시 에어쇼입니다. 2017년 올해 에어쇼에는 참석 인원 59만 명, 항공기 2,991대가 참가했다고 합니다. 바로 여기에 『비행의 시대』의 저자 장조원 한국항공대학교 교수님께서 다녀오시면서 사이언스북스 독자들을 위한 짧은 여행기를 보내 주셨습니다. ※ 오쉬코시 에어쇼(EAA AirVenture Oshkosh 2017)란?매년 7월 말 미국 위스콘신 주 오쉬코시 ..
지난 네 번에 걸쳐서 여덟 문턱, 138억 년이라는 기나긴 시간을 거쳐 온 「빅 히스토리 아카데미」. 마지막 시간에는 김한승 선생님(하나 고등학교 사회과 교사), 그리고 지난 여덟 문턱을 강연했던 연사들과 함께 ‘우리의 빅 히스토리’를 놓고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김한승 선생님은 교육 현장에서 ‘빅 히스토리’를 학생들에게 제시한 경험을 우리에게 들려주었습니다. 김한승 선생님은 ‘빅 히스토리’를 정규 교과목으로 개설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역사 교육과 어떠한 차별성을 지녔는지를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했다고 이야기합니다. 문·이과 융합 교육이라는 추세에 맞추어 역사를 자연 과학을 포함한 통합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게끔 학생들을 훈련하며 사고력과 창의력을 길러 준다는 점이 바로 그것인데요. 이는 주입식으로 이루어져 온..
아시아 태평양 이론 물리 센터(이하 APCTP)에서 이휘소 박사의 신념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진행해 온 최대 규모의 연례 추모 행사 “벤자민 리 프로페서십(Benjamin Lee Professorship)”! 지난 10월, 『이휘소 평전』 자료를 통해 행사 준비를 도운 저희 사이언스북스도 초대받아 다녀왔습니다. 노력하는 천재, 이휘소를 배우다: APCTP 벤자민 리 프로페서십 참 입자 발견, 게이지 이론 재규격화, 힉스 입자 명명 등으로 20세기 표준 모형 완성에 핵심 기여해 노벨상 메이커로 불리던 이휘소 박사. 그의 서거 40주기인 올해도 어느새 저물어 가네요. 이휘소 박사를 기억하는 사람들에게 올해는 특별했습니다. 수년 전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았지만 아쉽게 절판되었던 『이휘소 평전』(강주상 지음,..